6.6 C
Ganghwa-gun
자연/생태 페이지 4

자연/생태

아물쇠딱다구리

2024. 6. 6 아빠 아물쇠딱다구리 한마리. 맑고 파란 하늘이 아름다운 날 마른 나무위로 날아와 한참을 우두커니 있더니 깃털을 다듬는다. 한자리에서 꼼짝도 안하고 돌아갈줄도 모르고 저러구있다.    

뻐꾸기

꾀꼬리

꽃양귀비

 

솔부엉이

2024. 6. 4. 천연기념물 솔부엉이 지난해 해마다 오던 장소에서 솔부엉이를 볼수없어 많이 아쉬웠는데 금년에도 몇번을 가도 찾을수없었는데  뜻밖의 장소에서 솔부엉이가 보인다. 나뭇잎으로 가려 좀처럼 찾을수없는곳에 기가 막히게 숨어있어 제대로 온전한 모습은 보기 어려울거 같다. 늘 같은장소에 앉아있으니 더욱.. 분명 근처에 둥지가 있을덴데 무사히 잘 번식에 성공하길 바라는 마음이지만 그래도 한편으로...

붉은부리찌르레기

12024. 5. 31 2000년 4월 강화도 미루지에서 수컷 1개체가 처음 관찰된 이후 개체수가 증가하고있고 이제는 여기저기서 번식도 하고 있다. 강화도에서도 번식을 하지않을까 했는데 오늘 먹이를 물고 육추중인듯한 여러 개체가  빨갛게 익은 오디를 부지런히 물어 나르고 있었다.

붉은배새매

2024. 5. 22 천연기념물 여름철새로  5월초 부터 9월 하순까지 관찰되며 숲 가장자리 나 낮은 산에 서식한다.  

2024. 5. 22 풀속에서만 꿩꿩 울어댄다. 날갯짓을 하면서.. 장끼 한마리. 암컷 까투리 2마리를 데리고 다닌다.

꼬마물떼새

2024. 5. 17 꼬마물떼새 한쌍이 공사중인듯 매립한곳에 둥지 만들곳을 찾고있는듯하다. 공사를 위해 도로로 매립하는거 같은데 차가 지나가면 바로 둥지가 망가질듯 매립하는 흙도 그냥 흙이 아닌 폐기물이 섞인듯한 흙이다. 어디서든 무사히 번식에 성공하길 바래본다  

강화 군조 저어새

2024. 5. 강화군조이며 천연기념물인 저어새 금년에도 많은개체가 돌아왔다. 우리나라 서해안 무인도, 강화의 각시암 인천과 영종도주변 작은섬에서 번식하며 물고인 갯벌하구, 논 등 습지에서 주걱같이 넓적하고 긴 부리를 휘저으며 붕어. 미꾸라지등 먹이를  잡아 먹으며 강화도에는 3월중순 찾아와 10월 중순. 적은개체지만 제주도에서도 월동을 하며  대만, 베트남, 홍콩, 일본 등지에서...

주간뉴스

조회수 많은 글

꼬마물떼새

꼬마물떼새도 봄이 왔다고 찾아왔다. 한, 두마리씩 보이던것이 이번엔 16마리 13마리 두 무리가 찾아왔다. 먼길 오느라 힘들었는지 무논에서  옆에 누가 있거나 말거나 신경도 안 쓰고 먹이 찾아 먹느라...

다시만난 낭비둘기무리

2025. 3. 23 대박! 낭비둘기 9마리가 전깃줄에 앉아있다. 이리 많은 개체수를 한 장소에서 보다니. 그것도  번식지인 전라도도 아니고 연천도 아닌 내가 사는 강화에서 만나니 가슴이 뛴다. 워낙...

알락할미새

강화자봉, 토탈 자원봉사자의 날 개최

강화군 자원봉사센터는 지난 11일 내가면 고천4리 경로당에서 세 번째 토탈 자원봉사자의 날을 개최했다. 도움이 필요한 어르신들을 위해 곳곳으로 찾아가는 토탈 자원봉사자의 날은 지난 2월 화도면과...

생활민원 기동처리반 마을회관 순회, 서비스의 날 운영

강화군은 생활민원 기동처리반이 3월부터 매월 마을회관을 순회하며 ‘현장서비스의 날’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생활민원 기동처리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전등 교체, 문 손잡이 보수, 화장실 및 싱크대 배수구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