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읍은 고려전기에 강화현에 속하였고 고려 1232년(고종 19) 몽골의 침입으로 개경에서 천도 한후 강도의 소재지였으며 1377년(우왕 강화현이 강화부로 승격된 이후 부치(府治)가 자리하고 있어 조선시대이래 부내면(府內面)이라 칭하다가 1938년 강화군의 이름을 따라 강화면으로 개칭하였고 1973년 7월 1일 강화읍으로 승격되었다. 강화는 강과 연관된 지명으로 강(한강, 임진, 예성)을 끼고 있는...
고려 고종때 전국 2대 사찰의 하나인 선원사(禪源寺)가 이곳에 있었다하여 선원면(禪源面)으로 호칭하였고 조선 인조 이후부터 선원면(仙源面)으로 표기하고 있는데 선원은 신선이 사는 별천지 즉 이상향이란 좋은 뜻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월리(錦月里)
옛부터 거말동(巨末洞)이라 하였으며 거말동을 대촌(大村)이라 부르기도 하 는데 이 명칭은 큰말이란 뜻으로 속칭 금월어지라 부른데서 유래되었다고 한...
고려시대 불교가 융성할 때 이곳 고능리에 자은사(慈恩寺)가 있었는데 이절의 이름에서 은자를 따서 부처님의 은혜를 입은 지역이란 뜻으로 불은면이라 칭하였다고 하며,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불은면과 인정면을 병합한 후에도 그대로 불은면으로 부르고 있다.
두운리(斗雲里)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종전 인정면의 두두미동(斗頭尾洞)과 백운동(白雲洞)을 합하여 두운리라 하였다. 경주골 : 옷골...
조선시대에 길상산의 이름을 따라 길상면이라 칭하였으며 길상산에는 양마목장(良馬牧場)이 있었고 임금께 진상하던 약쑥과 감목관청에서 향탄(香炭)을 공급하는 등 이로 인해 좋은 행운이 깃들었다는 뜻으로 길상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온수리(溫水里)
옛부터 따뜻한 샘물이 나는 마을이라 하여 온수동이라 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온수리라 하였다. 공장산 : 해랑당 동쪽에 있는 산으로 예전에 질그릇을...
옛날에는 고가도(古加島)란 섬이었으며 강화의 최남단에 위치하여 조선시대 이래로 하도면(下道面)이라 칭하다가 1937년 하도공립보통학교 교장으로 부임하여 있던 일본인 산원(山元)의 제청으로 하도(下道)라는 명칭이 상서롭지 못하다고 하여 화도(華道)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내리(內里)
옛부터 마을은 안락한 생활을 영위토록 취락이 형성되었는데 마을모양이 한자의 내(內)자와 비슷하고 산모양이 또한 흡사하여 내리라 칭하였으며 넓은 골안에 있는...
조선시대 이후 하도면과 마주하면서 옛 진강현의 부치쪽 곧 위쪽에 자리하고 있어 상도면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위량면(位良面)과 합하고 위량면에서 양(良)자와 상도면에서 도(道)자를 따서 양도면이라 칭하였다.
길정리(吉亭里)
조선시대 이래 길상면 관할에 정자가 있는 마을을 정두동과 정하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길상면에서 길(吉)자와 정두(亭頭), 정하(亭下)동에서 정(亭)자를 취하여 길정리라...
조선시대 이래로 내가면이라 하였는데 내가면이란 명칭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 있던 외가면(外家面)의 안쪽에 있다는 뜻으로 상대적 개념으로 붙여진 듯 하다.
고천리(古川里)
옛부터 고려산과 혈구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유수(流水)에 의해 형성된 마을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고상동(古上洞)과 고하동(古下洞)에서 고(古)자와 자연마을인 현천(玄川)에서 천(川)자를 따서 고천리라 하였다. 고려지(高麗池) : 고려산과 혈구산에서 내려오는...
고려때 있던 하음현(河陰峴)의 이름을 따서 조선시대 이래로 하음면이라 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하음면에 간점면(艮岾面)과 외가면(外家面)을 합하고 하음에서 하(河)자와 간점에서 점(岾)자를 따서 하점면이라 하였다.
신봉리(新鳳里)
옛부터 새로 생긴 마을이란 뜻으로 새말, 신촌동(新村洞)이라 칭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신촌동에서 신(新)자와 봉상동(鳳祥洞)에서 봉(鳳)자를 따서 신봉리라 하였다. 가막내 : 봉천산 서쪽...
양사(兩寺)란 두 개의 절이란 뜻으로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때 서사면과 북사면을 합쳐서 양사면이라 칭하였다.
철산리(鐵山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조선시대에 철곶보가 있던 철곶(鐵串)과 포구마을인 산이포(山伊浦)와 합하고 철곶에서 철(鐵)자와 산이포에서 산(山)자를 따서 철산리라 하였다. 널다리 : 산이포 동남쪽에 나무로 놓은 다리라 널다리로 불렀으며 1965년 콘크리트로 새로 놓고 철산교라 한다. 산이포(山伊浦)...
조선시대 이래 송정포(松亭浦)의 이름을 따서 송정면(松亭面)으로 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송정면(松亭面)과 삼해면(三海面)을 병합하고 송정면에서 송(松)자와 삼해면에서 해(海)자를 따서 송해면이라 칭하였다.
솔정리(率丁里)
예전에 이곳에 소나무 정자가 있어 솔정동(率亭洞)이라 칭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이 마을에 나주 정씨가 집단으로 거주하고 있어 정씨가 거느리는 마을이란 뜻으로 솔정리라 개칭하였다고 전한다.
간촌(間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