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1392년 7월 20일 : 고려의 왕씨들을 강화에 가둠.

1393년 5월 4일 : 박영충(朴永忠)을 강화절제사(江華節制使)로, 이승원(李承源)을 교동절제사로 임명함.

1393년 5월 14일 : 왜적이 교동에 침입함.

1394년 4월 14일 : 왕씨 일족을 제거하기 위해 형조전서 윤방경(尹邦慶)과 대장군 오몽을 (吳蒙乙)을 강화에 보냄.

1394년 4월 15일 : 윤방경이 왕씨들을 강화 나루에 던짐.

1394년 6월 23일 : 강화·진강·하음·교동 등을 경기우도에 소속시킴.

1395년 : 교동에 만호를 두고 지현사(知縣事)를 겸하게 함.

1398년 5월 10일 : 대장경 목판을 선원사에서 용산강으로 옮김.

1407년 5월 26일 : 강화부 하음에서 산이 붕괴됨.

1407년 12월 2일 : 화엄종인 강화의 전향사(香寺)를 자복사(資福寺)로 정함.

1409년 1월 29일 : 강화·교동의 전지를 군자전(軍資田)으로 함.

1409년 2월 22일 : 경기좌우도수군절제사(京畿左右道水軍節制使)가 강화부사를, 경기우도도만호(京畿右道都萬戶)가 교동현령(喬桐縣令)을 겸하게 함.

1409년 5월 8일 : 마니산·길상산·진강산이 무너짐.

1412년 5월 7일 : 우박이 내림.

1413년 8월 23일 : 종자마 100여 필을 길상산에 방목함.

1413년 : 강화도호부로 승격.

1414년 9월 16일 : 강화에 제언을 선군(船軍)에게 경작케 함.

1415년 1월 21일 : 강화에 새 목장이 완성되었는데 둘레는 6만 7148척임.

1416년 3월 11일 : 강화의 가릉포(嘉陵浦)에 국농소(國農所)를 설치함.

1417년 6월 4일 : 진강산·길상산·북일곶이·신도(信島)·매도(煤島) 등 5개 목장의 마필을 강화부사가 관리함.

1417년 8월 29일 : 교동·강화의 수군이 받은 전지 800여 결을 풍저창(豊儲倉)·광흥창(廣興倉)에 속시킴.

1418년 3월 13일 : 교동의 수영(水營)에서 황룡(黃龍)이 나타났다고 보고함.

1421년 7월 25일 : 삼목도(三木島)·자연도 수군을 교동에 소속시킴.

1423년 5월 21일 : 강화 진강산·북일곶·길상산·매도·주질문도·신도 등 목장의 말이 288필 증가함.

1423년 7월 26일 : 경기우도수군부만호를 교동수군부만호(喬桐水軍副萬戶)로 고침.

1425년 4월 26일 : 강화부의 옛 성터에 성을 쌓고 치소(治所)를 옮김.

1425년 11월 8일 : 한성부윤 김소대(金素大) 등이 강화부의 목장이 남쪽으로 진강(鎭江)부터 대청포(大靑浦)까지, 서쪽으로는 건동을포(巾冬乙浦)까지라고 함.

1426년 2월 23일 : 마니산 참성대가 무너짐.

1427년 6월 2일 : 진강·길상 두 목장을 합침.

1429년 10월 21일 : 강화성터를 배지평(背只平)으로 정하고 군사 9000명을 동원하여 5년을 기한으로 완성하도록 함.

1432년 3월 10일 : 판부사 최윤덕(崔潤德)·예조판서 신상(申商)이 강화성터와 목장터를 살핌.

1432년 10월 26일 : 강화도호부사(江華都護府使)가 감목관(監牧官)을 겸임함.

1433년 2월 15일 : 경기 강화부사가 감목관을 겸임함.

1434년 8월 3일 : 강화에서 왜닥[倭楮]를 재배함.

1437년 11월 11일 : 북방야인의 괴수 거아첩합(巨兒帖哈)을 강화에 유배 보냄.

1448년 4월 5일 : 전라도 조운선 6척이 교동 응암(鷹岩)에서 침몰함.

1448년 8월 27일 : 강화·교동 등지의 조선(造船)용 소나무 벌목을 금지함.

1450년 5월 2일 : 양녕대군 3남 서산윤(瑞山尹) 이혜(李譿)를 강화부에 유배.

1450년 11월 1일 : 김숙리(金叔利)를 강화도호부사(江華都護府使)로 임명.

1453년 10월 10일 : 안평대군 이용(李瑢)과 아들 이우직(李友直)을 강화에 유배함.

1453년 10월 16일 : 이용과 이유직을 교동으로 옮김.

1456년 2월 10일 : 진강·중장·길상의 세 목장을 합침.

1457년 10월 20일 : 김포·양천·통진·교동을 강화진(江華鎭)에 편입함.

1458년 2월 26일 : 강화에 주진(主鎭)을 설치함.

1459년 7월 11일 : 강화진에서 진인(鎭印)을 사용하도록 함.

1465년 11월 3일 : 한명회가 강화·교동 성터를 둘러봄.

1466년 7월 12일 : 병조에서 강화 등지의 군기(軍器)를 상정함.

1472년 5월 24일 : 강화에 영속된 난신 황의헌(黃義軒)의 얼제(孼弟) 황녹송(黃綠松)을 종원안치(從願安置)함.

1473년 9월 26일 : 강화도호부사 신윤종(申允宗)은 준직(准職), 교동현감 김수(金洙)는 우등의 성적으로 체임됨.

1475년 3월 12일 : 교동정로간(喬桐庭爐干)에 정역(定役)된 정숭도(丁崇道)를 방면함.

1475년 7월 1일 : 이시보(李時珤)를 통정대부 행강화도호부사로 임명함.

1477년 윤2월 18일 : 관상감(觀象監)에서 마니산이 태일(太一)을 옮길 만한 곳이라고 추천함.

1480년 1월 24일 : 한명회(韓明澮)가 강화 등지의 포(浦)의 방어설비를 점검함.

1482년 2월 17일 : 경기진휼사(京畿賑恤使) 강희맹(姜希孟)이 교동·강화 등지의 기근을 보고함.

1482년 8월 24일 : 교동·강화 등지에 경창(京倉)의 쌀을 나눠줌.

1485년 10월 6일 :  한명회가 강화 해구에 성 쌓기를 건의함.

1486년 12월 27일 : 조지주(趙之周)를 강화부사로 삼음.

1487년 1월 26일 : 경기관찰사 성건(成健)이 강화 보음도(甫音島)의 지형을 그림.

1487년 3월 4일 : 볼음도에서 백성들이 경작을 함.

1487년 9월 15일 : 대사헌(大司憲) 성건이 강화에 둔전 경영을 건의함.

1499년 6월 6일 : 강화부에서 거북 비슷한 수족(水族)을 진상함.

1500년 9월 25일 : 강화부사 한위(韓偉)를 경직(京職)에 임명함.

1505년 2월 17일 : 내관 서수진(徐守眞)을 강화로 옮김.

1506년 2월 4일 : 강화부사에 장준손(張俊孫)을 임명.

1506년 2월 11일 : 내관 박서(朴恕)를 강화로 유배보내 종으로 삼음.

1506년 9월 2일 : 연산군이 폐위되어 교동현으로 유배함.

1506년 11월 6일 : 연산군이 역질로 사망함.

1518년 3월 18일 : 교동사람으로 절개를 지킨 말응금(末應今)을 표창함.

1523년 4월 24일 : 교동에 우박이 내림.

1524년 5월 22일 : 강화에 삼잎과 밀보리를 먹는 벌레가 있어 피해가 발생.

1525년 5월 5일 : 강화부에 지진이 발생함.

1538년 5월 20일 : 강화 등지에 충해(蟲害)가 발생함.

1542년 윤5월 1일 : 강화부에 지진(地震)이 발생함.

1543년 5월 1일 : 강화부에 부리가 검은 흰 벌레가 벼싹을 갉아먹음.

1544년 2월 18일 : 강화에 전염병이 성하여 80명이 사망함.

1544년 3월 20일 : 강화의 전염병 치료를 위해 의원과 약을 보냄.

1545년 11월 1일 : 교동 등 고을의 상평창 곡식을 못 받은 자들에게 혜택을 줌.

1546년 3월 29일 : 강화에 우박이 쏟아짐.

1546년 5월 23일 : 강화에 지진이 발생함.

1551년 11월 1일 : 강화주민에게 길상목장에서 농사짓게 함.

1555년 12월 8일 : 지진이 발생함.

1556년 4월 4일 : 교동에 지진이 발생함.

1557년 2월 24일 : 교동에 전염병이 돌아 의원을 보냄.

1564년 8월 5일 : 강화에 천둥과 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림.

1565년 4월 19일 : 강화에 지진이 발생하여 기와가 흔들림.

1586년 8월 24일 : 신각(申恪)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87년 2월 21일 : 강화의 민건(閔健)이 감목관에 차출됨.

1588년 1월 8일 : 구황곡(救荒穀) 5만석이 강화에 수송됨.

1590년 12월 27일 : 양사준(梁思俊)을 강화부사에 제수함.

1592년 5월 29일 : 비변사에서 강화·교동의 군을 모집함.

1592년 7월 1일 : 임진왜란으로 김천일(金千鎰)이 강화에 들어와 방어함.

1592년 9월 1일 : 우성전(禹性傳)의 의병이 강화에 가서 김천일의 군사와 연합함.

1592년 10월 13일 : 강화에는 피난민이 많이 있기 때문에 우의정을 보내어 다스림.

1592년 10월 22일 : 전라도 관찰사 권율(權慄)이 군을 거느리고 강화로 옴.

1592년 11월 1일 : 문소전(文昭殿)의 위판(位版)을 강화에 봉안함.

1592년 11월 3일 : 김천일 등 의병들이 강화에서 경성으로 나옴.

1593년 1월 11일 : 강화에 비치한 쌀을 실정에 맞게 경기도에 나누어 줌.

1593년 1월 11일 : 전라도 절도사 최원(崔遠)의 군사 4,000명이 강화부에 주둔함.

1593년 2월 17일 : 창의사(倡義使) 김천일이 다시 강화로 들어옴.

1593년 3월 16일 : 세종대왕의 영정을 강화의 묘사(廟社)에 봉안함.

1593년 4월 16일 : 강화의 유민을 진휼함.

1593년 5월 5일 : 강화에 머물던 훈련도정(諫鍊都正) 최원(崔遠)을 파직함.

1593년 5월 11일 : 황민성(黃玟誠)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3년 9월 9일 : 비변사에서 강화에 있는 세미(稅米)를 나누어 백성을 구제함.

1593년 10월 9일 : 강화에 피난해 있는 선왕의 후궁들에게 음식 등을 지급함.

1593년 12월 1일 : 전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 정철(鄭澈)이 강화에서 사망함.

1594년 7월 5일 : 병조에서 강화 등지의 말을 차출함.

1595년 8월 27일 : 강화 진강장 목장의 경작을 불허함.

1595년 11월 3일 : 판중추부사 윤두수(尹斗壽) 등이 강화에 실록을 옮길 곳을 수리함.

1596년 2월 26일 : 전등사에 문소전(文昭殿)의 위판 및 영정을 옮겨 봉안함.

1596년 5월 29일 : 강화에 숨어 있던 황해병사 최원(崔遠)을 파직함.

1596년 11월 3일 : 이조에서 겸춘추(兼春秋) 1원(員)을 차출하여 강화사고(江華史庫)를 담당케 함.

1596년 11월 6일 : 비변사에서 파직된 강화부사 심우정(沈友正)의 유임을 청함.

1596년 11월 16일 : 서성(徐渻)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6년 11월 20일 : 우복룡(禹伏龍)을 강화도호부사로 임명함.

1597년 1월 29일 : 유성룡이 강화를 순찰함.

1597년 6월 22일 : 옹주(翁主) 등이 강화로 피난감.

1597년 7월 29일 : 윤두수가 강화부 방수(防守) 계책을 세움.

1597년 8월 15일 : 장운익이 명의 수군을 강화에 주둔시킬 것을 건의함.

1597년 9월 29일 : 명군의 군량을 강화에서 아산(牙山) 등지로 옮김.

1598년 2월 21일 : 강화에서 머리가 둘, 발이 일곱인 송아지가 태어나자마자 죽음.

1598년 2월 30일 : 관상감(觀象監)이 강화에서 태어난 송아지를 점을 쳐보았는데 괴이한 괘가 나왔다고 함.

1598년 5월 22일 : 강화부에서 만든 목마(木馬)를 올림.

1599년 5월 25일 : 권희(權憘)를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9년 6월 7일 : 호조낭청을 강화에 파견하여 식량운송을 감독케 함.

1599년 7월 21일 : 홍치상(洪致祥)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9년 10월 29일 : 심극명(沈克明)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9년 11월 4일 : 홍가신(洪可臣)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9년 11월 17일 : 이수준(李壽俊)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0년 1월 10일 : 문소전의 위판이 강화를 떠나면서 사유제(事由祭)를 지냄.

1601년 8월 23일 : 송순(宋諄)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1년 8월 28일 : 조존성(趙存性)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3년 12월 15일 : 전 만호 허수(許售)가 강화의 편오군(編伍軍)을 재편성함.

1604년 6월 22일 : 심열(沈悅)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4년 12월 25일 : 겸춘추(兼春秋) 관원을 선발하여 강화사고를 수직케 함.

1605년 1월 4일 : 이각(李恪)을 교동현감으로 임명함.

1605년 9월 25일 : 윤의립(尹義立)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6년 4월 23일 : 신경창(申慶昌)을 교동현감으로 임명함.

1608년 2월 15일 : 임해군(臨海君)을 진도에서 교동도로 유배함.

1609년 5월 3일 : 임해군 이진(李瑱)이 사망함.

1609년 5월 4일 : 임해군을 살해한 교동별장 이정표(李廷彪)의 죄를 다스림.

1612년 10월 29일 : 강화부사 권반(權盼)을 충청도로 보냄.

1612년 12월 8일 : 강화 등지에 어사를 파견하여 무재(武才)를 살핌.

1613년 7월 26일 : 영창군(永昌君) 이의(李義)를 강도에 유배함.

1614년 1월 10일 : 강화부사 기협(奇協)을 추국함.

1614년 1월 13일 : 정항(鄭沆)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14년 2월 10일 : 강화부사 정항(鄭沆)이 영창군을 살해함.

1614년 6월 6일 : 광해군이 강화부사 정항을 잡아들임.

1614년 7월 3일 : 이정표를 강화부사로 임명함.

1614년 7월 11일 : 비변사에서 강화도에 목책(木柵)을 설치함.

1614년 9월 12일 : 금군(禁軍)과 잡류(雜類)의 녹봉으로 강화미(江華米)를 사용함.

1615년 11월 10일 : 능창군(綾昌君) 이전(李佺)을 교동에 유배함.

1615년 11월 24일 : 교동별감에게 능창군의 상(喪)을 치르게 함.

1617년 2월 1일 : 도적이 강화사고에 불을 지름.

1618년 6월 14일 : 강화검찰사(江華檢察使)가 경기·황연(黃延)·공홍(公洪)·전라·안동을 관할하는 5도 검찰사가 됨.

1618년 7월 1일 : 심돈(沈惇)이 진강장(鎭江場)의 형세를 그려 보고함.

1618년 9월 27일 : 사간원에서 강화부사 이안눌(李安訥)의 파직을 건의함.

1619년 4월 14일 : 영건도감에서 강화 훈련도감의 쌀 5000여 석을 사용함.

1620년 6월 14일 : 대궐에 쓰일 돌을 강화에서 부석소로 보냄.

1620년 7월 11일 : 조운선(漕運船) 10여 척이 강화에서 침몰함.

1620년 12월 22일 : 사간원에서 전 강화부사 기협(奇秊)이 역적 영창군을 비호한 것 때문에 국문함.

1620년 12월 27일 :  윤훤(尹暄)을 강화부윤(江華府尹)으로 임명함.

1622년 7월 26일 : 사간원에서 교동현감 유시공(柳時恭)의 파직을 요청함.

1623년 3월 13일 : 광해군을 폐위시켜 강화에 유배함.

1623년 3월 23일 : 광해군과 폐세자 이지를 강화로 옮기고 중사(中使) 및 별장(別將)을 배치함.

1623년 5월 22일 : 폐세자 이지가 도망가다 붙잡힘.

1623년 6월 25일 : 이지에게 죽음을 내림.

1623년 10월 8일 : 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 유씨(柳氏)가 강화 유배 중에 사망함.

1623년 10월 20일 : 강화부윤 이중로(李重老)를 파직하고 이성구(李聖求)을 임명함.

1624년 2월 8일 : 예조판서 이정구(李廷龜)가 종묘사직의 신주를 받들고 강화로 떠남.

1624년 2월 14일 : 광해군을 남해에서 강화로 옮김.

1624년 7월 8일 : 강화에 삼남(三南)의 병기를 보관함.

1624년 12월 23일 : 강화부윤 이성구가 위중한 광해군에게 의원과 약을 보냄.

1624년 12월 24일 : 강화의 유배처에 잡물(雜物)을 보냄.

1625년 2월 6일 : 김기종(金起宗)을 강화부윤으로 임명함.

1625년 2월 14일 : 인조가 자정전(資政殿)에서 강화부사 김기종을 인견함.

1625년 7월 20일 : 광해군의 병이 위중함.

1625년 9월 10일 : 강화에 목화와 목화씨를 보냄.

1625년 9월 29일 : 춘추관(春秋館) 당상(堂上)이 실록을 상고할 일로 강화에 감.

1626년 1월 5일 : 정효성(鄭孝成)을 강화부윤으로 임명함.

1626년 4월 21일 : 강화의 연군(烟軍)을 동원하여 부역케 함.

1627년 1월 20일 : 광해군을 교동으로 옮김.

1627년 2월 17일 : 강화에서 과거를 실시하여 유생들을 위로함.

1627년 4월 1일 : 명나라가 강화로 종묘사직의 신위를 옮긴 것에 이의를 제기함.

1627년 4월 15일 : 강화의 쌀 3000석을 해주 결성창(結城倉)으로 보냄.

1627년 5월 11일 : 심열(沈悅)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28년 1월 11일 : 강화의 유배처를 제대로 수직하지 못한 내관과 별장을 국문함.

1628년 1월 22일 : 강화 내관 박개신(朴介臣), 문극명(文克明)을 변방으로 유배함.

1628년 1월 25일 : 심기원(沈器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28년 2월 14일 : 신감(申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28년 6월 5일 : 백성들의 신망이 깊은 이안눌을 강화부윤으로 임명함.

1628년 9월 15일 : 교동현감 이지천(李志賤)을 인견함.

1629년 2월 13일 : 교동현을 부(府)로 승격함.

1629년 6월 16일 : 교동에 큰 바람이 불고 해일이 일어남.

1629년 10월 29일 : 교동에 있던 능창군 이전의 묘소를 경기 광주(廣州)로 이장함.

1630년 4월 9일 : 임금이 강화유수 이안눌의 유임의 청을 거절함.

1630년 5월1일 : 부원수 정충신(鄭忠信)이 교동에 출진함.

1630년 5월 7일 : 공청수사 송영망(宋英望)이 수군을 이끌고 강화로 감.

1630년 5월 8일 : 좌부승지 이경용(李景容)이 교동수군을 검열함.

1631년 8월 3일 : 강화에 수만 석 곡식을 축적할 지역을 선정함.

1631년 9월 23일 : 강화·교동에 우박이 내림.

1631년 10월 21일 : 강도의 인구는 1만 3000여 명, 호수는 6000호 임.

1632년 1월 9일 :  교동에 지진이 발생함.

1632년 4월 21일 : 강도의 무기고가 소실된 이유로 유수는 추고, 경력을 파직함.

1633년 2월 12일 : 김자점이 강도를 관리하는 책임을 겸함.

1633년 2월 13일 : 신준(申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33년 9월 15일 : 강화부에 지진이 발생함.

1633년 12월 26일 : 강화 위리별장(圍籬別將) 성대훈(成大勳) 등을 국문함.

1634년 1월 12일 : 봄에 광해군을 강도에서 교동으로 옮기라고 명함.

1634년 4월 12일 : 강화 유배처에 저포(苧布) 등의 물품을 보냄.

1635년 12월 8일 : 교동유학 황홍(黃泓)이 상언하여 벼슬을 받음.

1636년 3월 9일 : 장신(張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37년 1월 22일 : 청군이 강도를 침범함.

1637년 2월 9일 : 강화유수 윤이지(尹履之)의 건의로 경력을 임시로 줄임.

1637년 2월 17일 : 강화유수를 부사로 강등시킴.

1637년 4월 13일 : 광해군을 교동으로 옮김.

1638년 1월 4일 : 인조가 호조판서 등과 강화·교동의 방비태세 등을 논의함.

1638년 9월 19일 :  강화 등 7개 고을에 우뢰와 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림.

1639년 10월 29일 : 마니산 제단을 수축함.

1639년 12월 30일 : 마니산에 사당(祠堂)을 세우고 제사를 지냄.

1640년 1월 27일 : 김자점(金自點)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40년 1월 21일 : 강화의 쌀로 여주 등지를 진휼함.

1640년 2월 2일 : 이경직(李景稷)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44년 8월 6일 : 강화에 소장되어 있는 실록 중 산실된 부분을 다시 씀.

1646년 4월 2일 : 강화의 미곡 500석을 이시백(李時白)의 군대로 운송함.

1648년 6월 1일 : 강화에 옮겨 봉안할 때 파손된 세조의 영정을 보수하여 봉안함.

1650년 2월 6일 : 소현(昭顯)의 셋째아들을 강화로 옮김.

1650년 4월 26일 : 강화에 저장해 둔 종자를 경기도민에게 나누어주어 파종하게 함.

1650년 7월 4일 : 소현의 셋째아들을 교동으로 옮기고, 내의원을 보냄.

1650년 7월 21일 : 경기수사가 교동을 겸하여 관장함.

1651년 1월 22일 : 신준(申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1년 2월 27일 : 이시매(李時楳)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1년 4월 8일 : 황선신(黃善身)을 포록(褒錄)의 반열에 올림.

1651년 6월 4일 : 이만(李曼)을 강화부유수로 임명함.

1652년 1월 3일 : 이징(李澄)과 이숙(李潚)을 강화로 유배함.

1652년 9월 17일 : 이징·이숙을 소현의 셋째아들과 함께 교동을 옮김.

1653년 3월 3일 : 병에 걸린 소현세자의 셋째아들에게 내의원을 보냄.

1653년 3월 7일 : 선혜청의 춘부미(春賦米) 1000석을 강화에 지급함.

1653년 11월 6일 : 강화의 사각(史閣)의 화재로 실록과 의궤(儀軌) 등이 소실됨.

1654년 2월 12일 : 정세규(鄭世規)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4년 2월 24일 : 소현세자의 셋째아들에게 내의를 보냄.

1655년 1월 17일 : 강화유수 정세규가 강도연변의 보(堡) 설치를 건의함.

1655년 1월 27일 : 영의정 이시백이 강화연변에 진(鎭) 설치문제를 건의함.

1655년 5월 2일 : 홍중보(洪重普)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5년 5월 20일 : 상평청(常平廳)의 쌀 2883석과 콩 618석을 강화로 보냄.

1657년 3월 15일 : 김여옥(金汝鈺)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7년 7월 18일 : 민응협(閔應協)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8년 4월 20일 : 서원리(徐元履)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8년 9월 1일 : 송시열이 강화창의 곡식을 풀어 백성을 구휼할 것을 건의함.

1658년 11월 16일 : 강화유수 민응협(閔應秊)을 연안에 유배함.

1658년 12월 13일 : 강화유수 서원리가 사직상소를 올림.

1660년 2월 8일 : 유심(柳悅)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0년 5월 13일 : 강화유수 유심의 주청대로 세량 300여 석을 면제함.

1660년 10월 19일 : 토지 없는 가난한 강화백성들을 진휼함.

1660년 11월 13일 : 강화유수 유심을 강등시켜 유임시킴.

1662년 2월 8일 : 유철(兪㯙)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2년 10월 23일 : 강화유수 유철이 중군을 다시 둘 것을 건의함.

1663년 3월 6일 : 강화 목장을 개축함.

1663년 3월 9일 : 권우(權堣)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3년12월 7일 : 조복양(趙復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4년 3월 3일 : 강화유수 조복양이 강화군의 실정 및 무기 현황을 보고함.

1664년 5월 10일 : 전염병이 번져 죽는 사람이 많음.

1664년 5월 26일 : 강화유수 조복양을 이조참판에 제수함.

1664년 6월 1일 : 조복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4년 7월 23일 : 총융사의 군병을 강도에서 조련함.

1665년 6월 11일 : 이경휘(李慶徽)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5년 6월 17일 : 서필원(徐必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5년 7월 5일 : 강화부에 전염병이 극심하여 사망한 자가 많음.

1665년 7월 11일 : 강화부에 심한 바람이 불어 벼와 곡식이 피해가 심함.

1666년 1월 3일 : 강화유수 서필원 등이 수군과 육군 및 진을 옮기는 일을 논의함.

1667년 7월 2일 : 강도의 곡식 500석을 나누어 줌.

1668년2월 11일 : 90세가 넘은 강화백성에게 음식물을 하사함.

1668년 5월 22일 : 강화유수 서필원이 사직함.

1668년 6월 6일 : 김휘(金徽)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9년 8월 2일 : 강화부에 해일이 일어남.

1670년 1월 7일 : 강화도사 이만휘(李萬輝)를 교체함.

1670년 2월 21일 : 교동에서 지진이 발생함.

1670년 6월 20일 : 이완(李浣)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0년 7월 29일 : 강화에서 배가 전복되어 죽은 어부들을 구휼함.

1670년 8월 23일 : 김수흥(金壽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1년 2월 1일 : 강화부에 해일이 일어나 둑이 무너짐.

1671년 2월 18일 : 강화부에서 전염병으로 죽은 자가 50명임.

1671년 6월 17일 : 민희(閔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1년 7월 20일 : 대풍이 불어 곡식이 상함.

1673년 1월 21일 : 민시중(閔蓍重)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3년 2월 5일 : 최근 흉년이 든 강화부 등지의 백성을 구휼함.

1674년 4월 5일 : 강화에서의 돌 채취를 금지함

1674년 10월 20일 : 강화유수 오시수(吳始壽)를 도승지로 임명함.

1674년 10월 21일 : 정영(鄭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5년 5월 25일 : 유혁연이 강화의 성곽(城郭) 지도를 그림.

1676년 1월 12일 : 강화에서 병차(兵車)를 만듦.

1677년 9월 15일 : 이관징(李觀徵)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7년 10월 2일 : 강화의 제방미(除防米)를 지급하여 구휼함.

1678년 4월 9일 : 교동에서 머리가 둘 다리가 다섯인 송아지가 태어남.

1678년 4월 16일 : 윤이제(尹以濟)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8년 10월 17일 : 강화유수가 진무사를 겸함.

1679년 2월 13일 : 강화 군량미로 서울의 기근을 구제함.

1679년 3월 6일 : 강화의 돈대를 축조하는 역군(役軍)들에게 쌀 등을 지급함.

1679년 3월 28 : 강화의 돈대 구축에 승군(僧軍)을 동원함.

1679년 6월 16일 : 병조판서 김석주(金錫胄)가 강화의 돈대를 그린 족자를 올림.

1679년 7월 25일 : 강화부의 인화보(寅火堡)에 만호를 설치함.

1680년 3월 3일 : 정유악(鄭維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0년 4월 13일 : 이숙(李䎘)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0년 12월 6일 : 이선(李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0년 12월 26일 : 교동 백성들에게 조세의 1/3을 감하여 줌.

1681년 1월 3일 : 강화유수 이선에게 ≪국조보감(國朝寶鑑)≫ 편찬을 위임함.

1681년 5월 4일 : 강화에서 지진이 발생함.

1682년 1월 12일 : 조사석(趙師錫)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2년 2월 29일 : 지사 김석주가 덕포(德浦)를 주진(主鎭)으로 할 것을 청함.

1682년 4월 13일 : 강화유수 조사석이 광성(廣城) 등지에 돈대(墩臺)축조를 건의함.

1682년 7월 16일 : 강화·교동 등지에 대풍이 불어 재해가 발생함.

1682년 9월 15일 : 강화에서 사절(死節)한 송시영과 이시직을 2품에 증직 포장함.

1683년 6월 26일 : 이민서(李敏敍)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4년 2월 27일 : 강화의 성안에서 큰불이 일어남.|

1684년 3월 13일 : 강화유수 이민서가 백마(白馬)·문수(文殊)·진강(鎭江) 세 곳에 성을 쌓을 것을 건의함.

1684년 6월 23일 : 윤계(尹堦)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4년7월 29일 : 대사헌(大司憲) 이민서가 강도의 지도를 그려 올림.

1685년 5월 6일 : 지평 최규서(崔奎瑞)가 강화유수 윤계를 탄핵함.

1685년 5월 18일 : 이익(李翊)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5년 10월 6일 : 어사 유명일(兪命一)이 강화부에서 시재(試才)함.

1686년 6월 16일 : 신정(申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6년 9월 6일 : 강화유수 신정이 장총과 배의 필요성을 건의함.

1686년 11월 3일 : 강화의 사고에 연산조일기와 광해조일기를 보관함.

1687년 4월 23일 : 강화부의 석물(石物)을 가져가는 일을 금지함.

1687년 12월 23일 : 윤지완(尹趾完)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8년 7월 11일 : 신익상(申翼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9년 2월 7일 : 강화부에 전염병이 발생함.

1689년 윤3월 5일 : 권해(權瑎)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9년 윤3월 10일 : 정박(鄭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9년 4월 26일 : 강화부에 소장되어 있는 열성(列聖)들의 실록을 조사함.

1689년 11월 5일 : 관상감(觀象監)이 강화에 가서 혜성(彗星)을 살펴봄.

1690년 3월 7일 : 신후재(申厚載)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1년 8월 8일 : 강도에 중관(中官)을 보내 성을 쌓는 장사(將士)를 위로함.

1692년 2월 11일 : 오시대(吳始大)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3년 1월 24일 : 가을에 성을 쌓도록 함.

1693년 12월 14일 : 홍만조(洪萬朝)를 승진시켜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4년 5월 19일 : 민진주(閔鎭周)를 강화유수로 승진시킴.

1694년 10월 3일 : 강화부에 천둥·지진이 발생함.

1695년 3월 26일 : 진강의 목장마를 금군(禁軍)에게 나누어 줌.

1695년 6월 23일 : 김구(金構)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6년 1월 18일 : 김진구(金鎭龜)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6년 4월 27일 : 강화유수 김진구를 자헌대부(資憲大夫)로 높임.

1696년 5월 5일 : 최규서(崔奎瑞)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6년 11월 13일 : 이이명(李頤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7년 1월 1일 : 강화유수 이이명이 조정에 요청하여, 절개를 지키다 죽은 사람의 자손과 효자 등에게 쌀을 줌.

1697년 1월 19일 : 승지 김세익(金世翊)을 보내 강화에서 순절한 신하들을 제사지냄.

1698년 1월 15일 : 교동에 토포사(討捕使)를 별도로 설치함.

1698년 4월 5일 : 강화의 쌀 2000석을 한강 이남의 여러 고을에 지급함.

1698년 11월 4일 : 김창집(金昌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9년 5월 2일 : 강화부에 태풍이 불고 해일이 일어남.

1700년 4월 18일 : 민진후(閔鎭厚)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0년 7월 26일 : 김석연(金錫衍)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1년 9월 9일 : 강화유수 김석연이 강화지형도를 그려 올림.

1702년 2월 4일 : 관상감의 관원이 강화에 와서 서방에 나타난 흰 기운을 살펴봄.

1702년 5월 18일 : 이사영(李思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2년 7월 13일 : 교동에 해일이 일어남.

1702년 10월 17일 : 교동에 해일이 일어남.

1703년 1월 5일 : 이사영을 강화유수에 유임시킴.

1703년 7월 18일 : 이건명(李健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3년 9월 25일 : 강화유수 이건명이 대청포 등지의 홍문(虹門)의 개조를 청함.

1704년 2월 3일 : 이인엽(李寅燁)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4년 7월 5일 : 강화유수 이인엽이 해방(海防)에 대한 책을 바침.

1704년 8월 30일 : 강화유수 이인엽이 창사(倉舍)의 보수를 건의함.

1704년 9월 28일 : 강화유수 이인엽이 군사훈련 실시를 건의함.

1705년 5월 7일 : 민진원(閔鎭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7년 1월 25일 : 강화에 제언을 쌓는 역사(役事)를 계속함.

1707년 5월 25일 : 선두포 축언 준공.

1708년 4월 10일 : 유집일(兪集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8년 5월 2일 : 박권(朴權)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8년 10월 8일 : 강화 북일목장(北一牧場)을 혁파함.

1708년 12월 3일 : 진강목장을 혁파하고 농사를 짓게 함.

1709년 1월 28일 : 훈련대장 이기하(李基夏) 등이 강도의 형편을 살핌.

1709년 10월 2일 : 판중추부사 최석정(崔錫鼎)이 강화의 축성을 살펴봄.

1710년 4월 29일 : 민진원(閔鎭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10년 6월 29일 : 진강목장을 옮겨 설치하고 백성을 모집하여 농사짓게 함.

1712년 4월 17일 : 강화에 우박이 쏟아짐.

1712년 5월 13일 : 진강목장을 태복시(太僕寺)에 소속함.

1712년 6월 14일 : 강화에 우박이 쏟아짐.

1713년 4월 11일 : 어용(御容) 화본(畵本)을 강화 장녕전(長寧殿)에 봉안함.

1713년 4월 13일 : 강화에서 입이 둘, 눈이 넷, 다리가 여덟인 돼지가 태어남.

1713년 8월 8일 : 승지·사관이 어진(御眞)을 받들고 강도로 감.

1713년 9월 15일 : 강도의 쌀 1만석을 호남으로 운송함.

1713년 11월 28일 : 김진규(金鎭圭)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14년 1월 30일 : 강화 등지에 지진이 발생함.

1714년 4월 19일 : 강화에 홍수가 나서 각종 곡식이 상함.

1714년 5월 10일 : 강화 등지에 큰비가 내림.

1714년 7월 23일 : 교동에 이충(泥蟲)이 크게 발생함.

1715년 3월 3일 : 이태좌(李台佐)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17년 6월 1일 : 전염병이 성행하자 강화유수 등이 제사를 지냄.

1718년 윤8월 3일 : 교동에서 지지(紙地)를 방납(防納)함.

1718년 12월 6일 : 강화부의 전염병에 걸린 자가 561명, 사망자는 96명임.

1719년 1월 19일 : 심택현(沈宅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19년 2월 2일 : 강화부의 전염병에 걸린 자가 1101명, 사망자가 607명임.

1719년 2월 20일 : 전 강화유수 권성(權晟)이 돈대 14 군데를 쌓을 것을 건의함.

1719년 7월 25일 : 강화유수 심택현이 강도를 주관하는 당상을 둘 것을 건의함.

1720년 7월 11일 : 이재(李縡)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0년 8월 10일 : 홍계적(洪啓迪)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1년 6월 3일 : 이태좌(李台佐)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1년 11월 29일 : 권업(權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1년 12월 18일 : 심수현(沈壽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2년 4월 21일 : 이정신(李正臣)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3년 10월 17일 :  박필몽(朴弼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4년 2월 30일 : 강화에서 무재(武才)를 시행함.

1724년 5월 2일 : 강화·교동에 해일이 일어남.

1724년 12월 2일 : 김동필(金東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4년 12월 14일 : 황이장(黃爾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5년 4월 4일 : 조관빈(趙觀彬)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5년 5월 6일 : 박사익(朴師益)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5년 6월 16일 : 강화 외성 일부가 바닷물에 침식되어 무너짐.

1725년 10월 18일 : 강화부에 지진이 발생함.

1725년 12월 3일 : 강화에 문과와 무과를 실시하도록 함.

1725년 12월 15일 : 강화에서 순절한 구원일(具元一)·강위빙(姜渭聘)·황선신(黃善身)의 제사를 지냄.

1727년 윤3월 11일 : 강화유수 박사익이 병조판서에 제수됨.

1727년 4월 15일 : 이기진(李箕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7년 9월 12일 : 송성명(宋成明)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8년 5월 20일 : 신사철(申思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8년 8월 16일 : 정석오(鄭錫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9년 11월 26일 : 박사수(朴師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0년 4월 19일 : 유척기(兪拓基)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0년 9월 20일 : 강화유수 유척기가 강화지역의 썩은 쌀의 탕감을 청함.

1731년 1월 6일 : 강화부의 100세가 넘은 여인에게 세찬(歲饌)을 내림.

1732년 2월 14일 : 윤유(尹游)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2년 3월 17일 : 강화 등지의 군량미로 경기지역을 진휼함.

1732년 윤5월 13일 : 교동수사(喬桐水使) 구성익(具聖益)에게 말을 하사함.

1732년 6월 9일 : 교동의 무사들이 강도의 무재(武才)에 응시 할 수 있게 됨.

1732년 12월 11일 : 민응수(閔應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3년 1월 10일 : 이진순(李眞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3년 2월 8일 : 이유(李瑜)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3년 10월 19일 : 이광덕(李匡德)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3년 12월 18일 : 김동필(金東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4년 1월 20일 : 과도하게 세금을 징수한 송가도(松家島) 수사를 파직함.

1734년 2월 29일 : 강화유수 김동필의 건의로 썩은 군향을 모곡(耗穀)으로 보충하게 함.

1735년 9월 24일 : 심택현(沈宅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5년 12월 14일 : 이광덕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6년 8월 11일 : 강화에 거주하던 우찬성 세자이사(世子貳師) 정제두(鄭齊斗)가 사망함.

1736년 12월 11일 : 조명익(趙明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7년 2월 8일 : 전등사의 승려 문학(文學)이 어보(御寶)를 위조하여 작첩(爵帖)을 훔쳐 팔다가 체포됨.

1737년 10월 11일 : 윤용(尹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7년 11월 20일 : 강화유수 윤용이 강도의 성곽을 수리하고 군량을 축적하여 비상시에 대비함.

1738년 8월 1일 : 권적(權)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9년 2월 20일 : 조명리(趙明履)를 강화시재어사(江華試才御史)로 임명함.

1739년 9월 12일 : 원경하(元景夏)를 강화시재어사로 임명함.

1740년 2월 8일 : 오원(吳援)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0년 2월 27일 : 시재어사 원경하가 강화부에서 무예 시험을 행함

1740년 4월 23일 : 윤득화(尹得和)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1년 5월 14일 : 조명교(曹命敎)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1년 6월 2일 : 김시혁(金始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2년 10월 10일 : 강화유수 김시혁이 토성인 강화성을 청나라의 번벽법(燔
甓法)을 사용하여 성(塼城)으로 개축함.

1743년 4월 5일 : 강화유수 김시혁이 벽돌을 구워 성을 쌓는 법을 시행함.

1743년 6월 10일 : 강화부 축성을 삼군문(三軍門)에 나누어주어 완성함.

1743년 8월 14일 : 이익정(李益炡)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3년 8월 26일 : 강화유수 이익정을 교체하고 전 유수 김시혁을 유임시킴.

1744년 7월 14일 : 강화유수 김시혁이 토성을 전성으로 개축하였음을 고함.

1744년 7월 29일 : 이병상(李秉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4년 8월 19일 : 강화유수 이병상이 판돈녕(判敦寧)을 겸임함.

1744년 11월 12일 : 선혜청(宣惠廳)의 미곡 3만석을 강화에 지급함.

1744년 12월 1일 : 어용(御容)을 강화 장녕전(長寧殿)에 봉안함.

1745년 6월 3일 : 한현모(韓顯謨)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7년 3월 2일 : 서립도례(序立圖例) 1부를 정족산성 사고에 보관함.

1747년 5월 29일 : 강화유수 한현모가 내탕고(內帑庫) 은화를 도둑맞았다고 보고함.

1747년 8월 16일 : 권혁(權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8년 5월 16일 : 강도에서 병자년에 죽은 충신을 충렬사(忠烈祠)에 배향함.

1748년 12월 21일 : 심악(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9년 4월 12일 : 원경하(元景夏)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9년 8월 20일 : 강화 해안을 따라 나무를 심음.

1749년 8월 23일 : 강화유수 원경하가 강화에서 1000여 마리의 소가 죽었다고 보고함.

1749년 11월 21일 : 김광세(金光世)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1년 5월 8일 : 강화에 우박이 오고 눈이 내림.

1751년 9월 2일 : 조관빈(趙觀彬)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2년 5월 27일 : 한익모(韓翼)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3년 4월 17일 : 신사건(申思建)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5년 4월 24일 : 정형복(鄭亨復)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5년 12월 28일 : 조영국(趙榮國)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7년 5월 21일 : 김상석(金相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7년 6월 6일 : 이방수(李邦綏)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757년 9월 7일 : 부제학 서지수(徐志修)를 교동수사에 임명함.

1758년 3월 23일 : 홍계희가 강화 사고에서『조선왕조실록』을 고출(考出)함.

1759년 5월 23일 : 원경순(元景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9년 10월 6일 : 교동부에 신포(身布) 등을 내년 가을까지 정지하라고 함.

1759년 11월 8일 : 교동의 조세 전부를 감함.

1760년 10월 20일 : 홍낙성(洪樂性)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61년 4월 10일 : 황주목사(黃州牧使) 김상량(金相良)을 교동부에 충군시킴.

1762년 1월 2일 : 심성진(沈星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62년 10월 10일 : 강도미 1500석을 구휼에 사용함.

1762년 11월 19일 : 강필리(姜必履)를 강화순심어사(江華巡審御史)로 임명함.

1764년 5월 4일 : 김상익(金尙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64년 7월 24일 : 어사 정반(鄭槃)을 교동에 보냄.

1764년 11월 20일 : 해서의 곡식으로 교동의 백성들을 구제함.

1765년 5월 21일 : 원경렴(元景濂)을 교동수사에 임명함.

1765년 9월 22일 : 한림(翰林)이 강화에 가서 실록을 고증함.

1765년 9월 22일 : 훈련대장 구선복(具善復)이 강도의 목장의 형세를 살핌.

1766년 11월 4일 : 이은(李溵)을 강화유수에 유임시킴.

1767년 6월 5일 : 강화유수 이은을 교체하고 정상순(鄭尙淳)을 임명함.

1767년 7월 7일 : 강화유수 정상순에게 말 1필을 하사함.

1767년 7월 13일 : 병조판서 조운규(趙雲逵)를 교동수사에 임명함.

1768년 1월 9일 : 강화·교동 등지에 봄철 조련을 중지함.

1768년 6월 15일 : 교동수사 이인강(李仁康) 등을 추고(推考)함.

1768년 12월 15일 : 강화유수 정상순을 추고함.

1769년 4월 9일 : 황경원(黃景源)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1년 2월 21일 : 도승지 유언민(兪彦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1년 11월 12일 : 강화 군사를 집합시켜 점검하는 것을 중지함.

1773년 5월 14일 : 강화유수 성천주(成天柱)에게 말을 하사함.

1773년 12월 28일 : 선전관 이의빈(李義彬)을 교동에 유배함.

1774년 1월 8일 : 이휘지(李徽之)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4년 6월 21일 : 홍문관제학 조엄(趙曮)과 조명정(趙明鼎)을 교동부에 충군시킴.

1775년 3월 4일 : 홍낙명(洪樂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5년 6월 24일 : 시인(市人)·공인(貢人)을 교동부에 충군함.

1776년 1월 21일 : 훈련대장 이장오(李章吾)를 교동부에 충군함.

1776년 5월 16일 : 강화부유수 홍낙명을 이미(李瀰)로 교체함.

1776년 10월 13일 : 교동부사 신대현(申大顯)을 남양부(南陽府)에 유배함.

1777년 2월 21일 : 강화유수 김종수(金鍾秀)가 주강(晝講)함.

1777년 4월 5일 : 강화유수 김종수(金鍾秀)가 별시재(別試才) 시행을 건의함.

1777년 6월 25일 : 이복원(李福源)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7년 8월 28일 : 교동부를 현(縣)으로 강등함.

1778년 윤6월 21일 : 정치달(鄭致達)의 처 화완옹주(和緩翁主)를 교동부에 거주케 함.

1779년 1월 6일 : 이진형(李鎭衡)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9년 3월 8일 : 통어영(統禦營)을 강화부와 합함.

1779년 9월 20일 : 강화유수 홍낙순(洪樂純)을 우의정으로 임명함.

1779년 9월 27일 : 채제공(蔡濟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9년10월 4일 : 이성원(李性源)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0년 3월 27일 : 조준(趙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1년 2월 27일 : 유언호(兪彦鎬)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1년 3월 10일 : 서호수(徐浩修)를 강화유수에 제수함.

1781년 6월 29일 : 강화부 행궁에 있던 책들을 외규장각으로 옮김.

1781년 9월 24일 : 김익(金熤)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1년 12월 15일 : 교동에 수곤(水閫)을 설치하지 말라고 함.

1781년 12월 19일 : 군기를 강화부의 별고(別庫)에 저장함.

1781년12월 20일 : 강화부의 사고에 간직한 어적(御籍)을 창의궁(彰義宮)·장보각(藏譜閣)에 봉안함.

1782년 2월 14일 : 외규장각(外奎章閣)이 완성됨.

1782년 12월 30일 : 이노춘(李魯春)을 강화경력에 임명함.

1783년 6월 24일 : 강화부에 우박이 내림.

1783년 10월 28일 : 정지검(鄭志儉)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4년 1월 20일 :  강화부에 조칙과 구휼미를 하사함.

1784년 4월 20일 : 강화 백성 2만 9235명에게 구휼미를 줌.

1785년 10월 1일 : 팔조(八朝)의 실록과 각 전궁(殿宮)의 책보(冊寶)와 책인(冊印) 등을 강화부에 봉안함.

1786년 1월 19일 : 박우원(朴祐源)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6년 2월 22일 : 강화 충렬사(忠烈祠)에서 제사를 지냄.

1786년 12월 28일 : 은언군(恩彦君) 이인(李裀)을 강화부에 유배보냄.

1787년 5월 23일 : 강화부의 기민 4232명을 구휼함.

1788년 5월 7일 : 윤승렬(尹承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9년 7월 28일 : 강화에서 돌을 채취하는 일을 금지함.

1789년 10월 1일 : 신대승(申大升)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9년 11월 3일 : 정민시(鄭民始)를 교동수사에 임명함.

1789년 11월 4일 : 교동수사 정민시를 내직(內職)에 유임시킴.

1789년 12월 15일 : 훈련대장 이장오(李章吾)가 교동에 충군됨.

1790년 7월 10일 : 교동에 해일이 일어남.

1790년 12월 4일 : 홍수보(洪秀輔)를 강화유수로 삼음.

1791년 2월 21일 : 안평대군 이용(李瑢)이 강화에 유배되었다가 사망함.

1791년 8월 29일 : 유당(柳戇)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2년 7월 2일 : 조종현(趙宗鉉)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2년 11월 23일 : 정호인(鄭好仁)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2년 12월 24일 : 강화의 대장에 올라 있는 배의 세를 조정함.

1793년 6월 29일 : 윤사국(尹師國)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3년 8월 22일 : 경기 연안 고을의 쌀로 흉년이 든 교동을 구휼함.

1793년 9월 11일 : 어사 윤치성(尹致性)을 교동부에 파견함.

1794년 4월 12일 : 조윤대(曺允大)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4년 4월 13일 : 강화유수 조윤대(曺允大)를 의금부에 하옥함.

1794년 4월 14일 : 훈련대장 서유대(徐有大)와 어영대장 이경무(李敬懋)를 강화부에 충군함.

1794년 5월 12일 : 교동의 기민 1만 9333명에게 진휼미 1224석을 사용함.

1794년 5월 22일 : 강화에 충군한 죄인 서유대를 훈련대장에 제수함.

1795년 2월 6일 : 이재학(李在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5년 윤2월 28일 : 구휼용으로 강화에 200냥을 보냄.

1795년 6월 30일 : 김이익(金履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5년 7월 5일 : 교동 등지의 기민 14만 8490명에게 곡물을 나누어줌.

1795년 8월 15일 : 이시원(李始源)을 강화시취어사(江華試取御史)로 임명함.

1795년 8월 21일 : 강도 유생들의 시권(試券)을 심사함.

1795년 8월 24일 : 무시(武試) 및 별시(別試)에 합격한 사람을 시상함.

1796년 4월 23일 : 이병정(李秉鼎)을 월곶진(月串鎭)으로 유배함.

1796년 8월 9일 : 충정공(忠貞公) 윤집(尹集)을 강화 충렬사에 배향함.

1797년 2월 24일 : 임시철(林蓍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7년 4월 26일 : 이의필(李義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7년 6월 15일 : 신광리(申光履)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7년 8월 15일 : 강화유수 신광리가 은언군 이인이 유배처를 나간 일을 보고함.

1798년 9월 9일 : 홍명호(洪明浩)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9년 4월 3일 : 강화유수 홍명호를 정2품으로 승진시킴.

1800년 4월 26일 : 채홍리(蔡弘履)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0년 6월 5일 : 이경일(李敬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0년 12월 4일 : 강화에 표류한 중국 등주부(登州府) 사람을 육로로 호송함.

1801년 5월 29일 : 강화부에 거주하던 죄인 이인(李裀)을 사사함.

1801년 11월 7일 : 강화에 표착(漂着)한 중국인을 북경으로 돌려보냄.

1802년 6월 1일 : 한용탁(韓用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3년 10월 7일 : 강화유수 한용탁이 흉년 상황을 보고함.

1804년 5월 3일 : 오재소(吳載紹)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4년 12월 1일 : 교리 김상휴(金相休)를 강화부안핵어사(江華府按覈御史)로 임명함.

1806년 3월 6일 : 윤서동(尹序東)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8년 2월 28일 : 김선(金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9년 10월 29일 : 강화의 재해지 88결의 세금을 면제함.

1810년 1월 11일 : 윤치성(尹致性)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0년 10월 3일 : 강화의 재해지 63결에 대해 세금을 면제함.

1811년 7월 6일 : 오태현(吳泰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2년 1월 22일 : 홍의호(洪義浩)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2년 7월 30일 : 교동 등 백성에게 곡식 6620석을 나누어 진휼함.

1812년 10월30일 : 재해를 입은 강화의 605결에 대해 세금을 면제함.

1813년 5월 29일 : 강화의 기민 2만 255명에 대해 절미(折米)를 나누어줌.

1813년 10월 3일 : 강화에서 재해 비용으로 전문(錢文) 2600냥을 책정함.

1814년 6월 1일 : 박종경(朴宗京)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5년 7월 29일 : 강화 기민에게 쌀 3131석을 나누어 진휼함.

1815년 10월 30일 : 재해를 입은 301결에 대하여 세금을 면제함.

1816년 4월 5일 : 강화 충렬사에서 제사를 지냄.

1816년 5월 12일 : 서능보(徐能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7년 1월 1일 : 충렬사에서 제사를 지냄.

1817년 4월 6일 : 김상휴(金相休)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7년 10월 29일 : 재해를 입은 강화 134결에 대하여 세금을 면제함

1819년 3월 16일 : 조만원(趙萬元)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1월 1일 : 서준보(徐俊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6월 5일 : 윤노동(尹魯東)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10월 3일 : 강화 238결에 대한 세금를 면제함.

1822년 3월 3일 : 송면재(宋冕載)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2년 3월 11일 : 예조가 강화부 고 유의태(劉義泰) 처 하씨를 열녀로 정표함.

1822년 10월 29일 : 재해를 입은 강화의 422결의 세금을 면제함.

1822년 11월 5일 : 열녀인 교동의 황상빈(黃尙彬)의 딸을 위해 정문을 세움.

1824년 1월 2일 : 신현(申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5년 10월 3일 : 강화 백성들에게 절미 1500석을 나누어줌.

1826년 5월 1일 : 이광헌(李光憲)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7년 3월 1일 : 서유구(徐有榘)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0년 7월 2일 : 이약우(李若愚)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1년 9월 21일 : 홍명주(洪命周)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2년 10월 3일 : 재난으로 강화는 절미 3200석 등을 지급 받음.

1833년 5월 29일 : 강화백성에게 진곡 4242석을 나누어줌.

1833년 7월 1일 : 김기상(金基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3년 10월 29일 : 강화 백성에게 보리 2580석 등을 지급함.

1834년 6월 17일 : 김매순(金邁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4년 6월 24일 : 강화의 기민 5만 5639명에게 곡식을 지급함.

1835년 6월 24일 : 교동에서 300호가 침몰되고 70여 명이 사망함.

1835년 8월 23일 : 이현영(李顯英)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6년 6월 19일 : 이관규(李寬奎)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7년 4월 10일 : 구석붕(具錫朋)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8년 12월 10일 : 백은진(白殷鎭)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1년 4월 5일 : 서상오(徐相五)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3년 12월 26일 : 김택기(金宅基)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5년 2월 6일 : 심낙신(沈樂臣)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6년 2월 6일 : 오현문(吳顯文)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7년 6월 24일 : 김한철(金翰喆)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8년 7월 6일 : 이의식(李宜植)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8년 7월 22일 : 이규철(李圭澈)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9년 3월 11일 : 김상우(金相宇)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50년 3월 4일 : 황호민(黃浩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1년 8월 13일 : 교동의 무너진 집을 구휼함.

1851년 8월 13일 : 강화부의 무너진 집을 구휼함.

1852년 1월 1일 : 정덕화(鄭德和)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2년 2월 7일 : 이원달(李源達)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2년 12월 28일 : 홍우철(洪祐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3년 3월 14일 : 정기세(鄭基世)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3년 12월 2일 : 이노병(李魯秉)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4년 10월 16일 : 김병국(金炳國)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4년 11월 5일 : 조연창(趙然昌)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5년 10월 12일 : 김한순(金漢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6년 10월 14일 : 김영근(金泳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7년 3월 5일 : 강화유수 김영근(金泳根)에게 자헌(資憲)의 품계를 제수함.

1857년 4월 16일 : 이의익(李宜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1월 5일 : 조연흥(趙然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3월 9일 : 윤행복(尹行福)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6월 25일 : 조충식(趙忠植)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0년 9월 6일 : 이명적(李明迪)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2년 2월 26일 : 김동헌(金東獻)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2년 11월 6일 : 홍원섭(洪遠燮)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3년 11월 22일 : 정헌용(鄭憲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4년 8월 1일 : 어영청에서 강화유영의 은자 4000냥 중 1500냥을 대용함.

1865년 3월 10일 : 이인기(李寅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5년 윤5월 30일 : 강화유수 이인기가 진보·돈대·군기고·행궁 등을 수리함.

1866년 7월 10일 : 오페르트(Oppert)가 강화에 들어옴.

1866년 7월 10일 : 상선 엠페리호가 교동부 서면 두산리 앞 바다에 정박함.

1866년 7월 11일 : 오페르트가 강화 월곶진 승천보에 정박하여 통상을 요구함.

1866년 7월 26일 : 강화에서 이양선과 밀통한 안춘득(安春得)을 처형함.

1866년 8월 15일 : 프랑스군함 데루레도호와 타리디프호가 염하를 통과함.

1866년 8월 16일 : 프랑스군함 2척을 방어하지 못한 이유로 강화중군 이일제(李逸濟)를 파직하고 역관 2명을 파견하여 프랑스군함를 퇴각시킴.

1866년 8월 27일 : 프랑스함대 사령관 로즈(Roze)제독이 강화해역에서 철수함.

1866년 9월 6일 : 프랑스군함 4척이 갑곶진에 닻을 내리고 제물진에 상륙함.

1866년 9월 7일 : 프랑스 해군중령 도스리가 해병을 이끌고 강화부를 정탐함.

1866년 9월 7일 : 훈련대장 이경하, 총융사 신관호에게 강변의 방어 강화를 지시함.

1866년 9월 8일 : 프랑스함대가 강화부성 점령하고 군기 세곡 은피 등을 약탈함.

1866년 9월 9일 : 강화부 방어에 실패한 이인기·이능회(李能會) 등을 파직하고 이장염(李章濂)·박희경(朴熙景) 등을 임명함.

1866년 9월 12일 : 프랑스군이 광성진에서 군물을 탈취하고 화약고를 폭파함.

1866년 9월 18일 : 프랑스군 120명이 문수산성을 점령함.

1866년 9월 21일 : 강화부 이시원(李是遠)·지원(止遠) 형제가 프랑스군 침입에 저항하다 약을 마시고 자결함.

1866년 9월 21일 : 프랑스군이 강화에 침입함.

1866년 9월 22일 : 프랑스군함 2척이 강화에 포격함.

1866년 10월 2일 : 천총 양헌수(梁憲洙)가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함.

1866년 10월 4일 : 천총 양헌수를 정족산성 승리의 공로로 한성부우윤에 임명함.

1866년 10월 5일 : 프랑스군이 강화부를 점령하여 서적과 문화재를 약탈 도주함.

1866년 10월 7일 : 강노(姜老)를 강화부위유사에 임명함.

1866년 10월 15일 : 강화부에 포수 500명을 주둔시킴.

1866년 10월 18일 : 강화 전투 때 단신으로 대항하다 전사한 이춘일(李春日)·조광보(曹光甫) 등을 증직함.

1866년 10월 30일 : 강화부의 환곡을 1/3로 탕감함.

1866년 11월 15일 : 강화 선두진을 혁파하고 정족산성으로 이전함.

1868년 4월 28일 : 외양선 침입에 대비하여 영종·교동에 봉화대를 설치함.

1871년 4월 24일 : 미국 아시아함대가 초지진과 광성보에 침입하여 진무중군 어재연(魚在淵)이 방어하였으나 전사하여 패배함.

1871년 4월 25일 : 미국 상륙군부대가 강화에서 철수함.

1871년 5월 3일 : 어재연에게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충장(忠壯)의 시호를 내림.

1871년 6월 2일 : 초지진·광성진의 민호에게 내탕전을 나누어 지급함.

1874년 3월 20일 : 강화연안 용진(龍津) 등 3진에 포대를 신설함.

1875년 8월 20일 : 강화 수병이 초지진에서 일본군함 운양호(雲揚號)와 충돌함.

1875년 8월 21일 : 운양호가 강화에 침입하였으나 수군의 반격으로 격퇴함.

1876년 1월 3일 : 일본군함 맹춘호(孟春號)가 강화 초지진에 정박함.

1876년 1월 4일 : 일본군 흑전청융(黑田淸隆)·정상형(井上馨)이 맹춘호를 타고 강화 부근에서 철수요구를 거부하고 측량을 실시함.

1876년 1월 11일 : 강화유수 조병식이 삼산무(森山茂) 일행을 접견함.

1876년 1월 15일 : 강화판관 박제근이 초지진 갑관진에 상륙한 일본인 100여명에게 시탄 공급 사실을 보고함.

1876년 1월 16일 : 이건구(李建九)를 참모사에, 최경선(崔敬善)을 별군관(別軍官)에 임명하여 강화에 파견함.

1876년 1월 17일 : 접견대신 신헌(申櫶), 부관 윤자승(尹滋承)이 강화 연무당에서 일본 흑전청융(黑田淸隆)·정상형(井上馨)과 회담을 시작함.

1876년 1월 18일 : 접견대신 신헌이 일본 변리대신 흑전청융과 강화부 집사청에서 담판함.

1876년 1월 30일 : 강화유수 조병식이 일본군 철수를 보고함.

1876년 2월 2일 : 일본이 운양호사건 구실로 강화도조약 체결을 요구함

1876년 2월 3일 : 접견대관 신헌, 부관 윤자승이 강화 연무당에서 일본대표와 회동하여 전문 12조의 조일수호조규 조인.

1876년 6월 15일 : 일본인 3명이 강화영에서 상경을 요청함.

1876년 7월 6일 : 조약 보완을 위해 병자수호조규부록 조일무역규칙을 체결함.

1882년 11월 16일 : 강화유수 김윤식(金允植)이 원세개(袁世凱)에게 강화의 군사사항 자문을 요청함.

1884년 4월 3일 : 강화유수 김윤식이 신영병정(新營兵丁)을 설치함.

1884년 10월 29일 : 강화유수의 해방총관(海防總官) 겸직을 폐지함.

1887년 5월 13일 : 강화부에 병영을 설치함에 따라 친군심영(親軍沁營)이라 칭함.

1886년 10월 25일 : 민영규(閔泳奎)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8년 1월 30일 : 정낙용(鄭洛鎔)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9년 3월 24일 : 민병석(閔丙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9년 11월 9일 : 민영준(閔泳駿)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0년 2월 15일 : 송세헌(宋世憲)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0년 3월 27일 : 조동면(趙東冕)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3년 3월 18일 : 해연총제사(海沿總制使)가 강화유수와 진무사를 겸하게 하고, 민응식(閔應植)을 이에 임명함.

1893년 9월 : 총제영학당 교사(校舍)준공. (최초해군사관학교)

1894년 9월 28일 :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해 강화영 병정 200명이 은진으로 출발.

1894년 10월 2일 : 강화유수가 동학교도 김원팔(金元八)의 처형 사실을 보고함.

1894년 12월 23일 : 신정희(申正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5년 4월 17일 : 이준용(李埈鎔)을 교동으로 유배보냄.

1895년 5월 26일 : 유수부를 폐지함에 따라 강화유수부는 강화군으로, 교동현은 교동군으로 변경되어 모두 인천부에 소속됨.

1895년 윤5월 1일 : 강화유수는 강화군수로 격하됨.

1895년 6월 12일 : 교동에 유배중이던 이준용을 석방함.

1896년 5월 22일 : 교동에 유배중이던 민영준과 민형식(閔炯植)을 석방함.

1896년 8월 5일 : 참령 장기염(張基廉)을 강화지방대 대대장으로 임명함.

1896년 8월 27일 : 강화·교동 등지의 재판관할구역이 한성재판소에 이속됨.

1897년 6월 23일 : 이규증(李奎曾)을 강화지방대 대대장으로 임명함

 

< 출처 : 강화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