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兩寺)란 두 개의 절이란 뜻으로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때 서사면과 북사면을 합쳐서 양사면이라 칭하였다.
철산리(鐵山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조선시대에 철곶보가 있던 철곶(鐵串)과 포구마을인 산이포(山伊浦)와 합하고 철곶에서 철(鐵)자와 산이포에서 산(山)자를 따서 철산리라 하였다.
널다리 : 산이포 동남쪽에 나무로 놓은 다리라 널다리로 불렀으며 1965년 콘크리트로 새로 놓고 철산교라 한다.
산이포(山伊浦) : 철산리 동남쪽 해변가에 있던 포구마을로 예전에 포촌동이라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산이포로 개칭하였으나 지금은 휴전선으로 모두 이주 폐동되었다.
옥녀봉 : 산 봉우리 모양이 처녀의 예쁜 유방과 비슷하며 이곳에서 옥녀가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천신(泉新) : 산이포 서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엔 천진이란 나루가 있었는데 지금은 통행할 수 없으며 새로 생긴 마을에 옛 천진의 천(泉)자를 살려 천신으로 부르고 있다.
형제바위 : 철곶 북쪽에 있는 바위로 크고 작은 바위 2개가 형제처럼 나란히 있어 형제바위라 부른다.
덕하리(德下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북사면 덕현동(德峴洞)에 군하동(郡下洞) 일부를 합하고 덕현동에서 덕(德)자와 군하동에서 하(下)자를 취하여 덕하리라 하였다.
군하동(郡下洞) : 예전에는 조수가 드나들던 머리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군두동(群頭洞)이라 부르다가 뒤에 없어졌고, 아랫마을이라 군하동으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덕고개 : 덕현동에서 교산리를 왕래하는 고개로 덕현동에서 덕자를 따서 덕고개라 부른다.
덕하천(德下川) : 봉천산 북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덕하리를 지나 산이포에서 바다로 흐르는 내라 덕하천이라 부른다.
덕현동 : 덕현동은 고어로 가파른 고개가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여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도덕바위 : 백마산 아래에 있는 바위로 도둑이 숨어 있다가 지리고개를 왕래하는 행인을 괴롭혔다하여 도덕바위라고 부른다.
백마산(白馬山) : 덕하리와 양오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산허리에 흰모래가 많아 멀리서보면 백마와 비슷하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양촌(陽村) : 양촌은 양달말에서 유래되었으며 큰 양달말을 대양촌, 작은 양달말을 소양촌이라 부른다.
오촌말(吳村洞) : 양달말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오씨가 많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응달말 : 덕하리의 응달쪽 마을이라 하여 응달말이라 부르며 음촌, 음짓말이라고도 한다.
함바위 : 덕하리에 있는 바위로 두드리면 함을 두드리는 소리가 난다고하여 함바위라 부른다.
황골 : 봉천산 북쪽골에 있는 마을로 크다는 뜻의 고어 한과 골(谷)의 합성어로 한골 – 항골 – 황골로 변화한 것 같다.
북성리(北省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원래 북사면 북정동(北井洞)에 삼성동(三省洞)을 합하고 북정동에서 북(北)자와 삼성동에서 성(省)자를 취하여 북성리라 하였다.
구등곶(龜登串) : 생설미 서북쪽 끝에 있는 곶으로 거북처럼 생겼다하여 구등곶이라 부른다.
별악산 : 북성리 남쪽에 있는 산으로 옛날에 암지네와 숫지네가 살았는데 어떤 사람이 숫지네를 죽이니 암지네가 복수하려고 돌을 높이 쌓았을때 벼락이 떨어져 무너졌다는 전설에 따라 별악산으로 부르고 있다고 한다.
말미(馬尾) : 오댓골 남쪽 말머리 밑에 있는 마을이라 말미라고 하며 몰미라고도 부른다.
북정동(北井洞) : 예전에 찬우물이 있어 냉정동(冷井洞)이라 부르다가 1895년 이후부터 북쪽 우물마을이란 뜻으로 북정동으로 고쳐 불렀다.
생설미 : 이곳에 삼성당(三省堂)이란 당집이 있어 붙인 지명이며 생설미는 삼성미의 다른 이름이다.
오댓골 : 욧골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처음에 다섯 집이 있었다고 하여 오댓골이라 부른다고 전한다.
요곡(瑤谷) : 전래부터 욧골이라 불러오고 있는 마을로 옛날에 바닷물이 마을앞을 돌아 흐르는만이 있던 데서 유래된 듯 하다.
교산리(橋山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서사면 교항동(橋項洞)에 증산동(甑山洞)을 합하고 교항동에서 교(橋)자와 증산동에서 산(山)자를 따서 교산리라 하였다.
덕응(德凝) : 덕고개부터 응곡마을까지 이르는 마을이라 하여 덕응 또는 덕궁(德窮)이라 부른다.
묵곡(墨谷) : 묵곡은 우리말로 풀이하면 검골로 신을 섬기던 마을이란 뜻에서 유래된 듯 하다.
신포(新浦) : 예전에 중국 상선이 이곳에 기착한 후 새로 포구가 생겨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신포라 부른다.
음곡(陰谷) : 응달진 곳에 있는 마을이라 음곡 또는 응곡으로 칭한다.
증산(甑山) : 산모양이 시루를 엎어 놓은 형상에서 마을이름을 증산이라 부른다.
인화리(寅火里)
인화석진(寅火石津)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범의 형상을 한 바위가 있는 나루터 마을이란 뜻으로 인화리라 명명한 듯 하다.
남시랑(南侍郞) : 큰말과 닭바위 사이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남시랑이 살았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닭바위 : 송산 서쪽에 있는 바위로 이름난 지관이 금계포란형의 명당을 잡아주면서 석자세치를 파면 반석이 나올 터이니 그 반석을 건드리지 말고 그대로 쓰라고 하였는데 그 말을 듣지않고 반석을 건드리자 금닭이 나와 울더니 이 바위로 변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바위에 치성을 드리면 득남한다고 전한다.
송산(松山) : 전들 동북쪽 산밑에 있는 마을로 소나무가 울창하여 송산이라 하였으며 솔미라고도 부른다.
범바우(虎岩) : 당산밑에 있는 바위로 범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며 남쪽을 향하고 있어 인화석이라고도 부른다.
전들 : 인화석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돌이 많이 있다고 하여 전돌이라 하였으나 와전되어 전들이라 칭하고 있으며 저운동으로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