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불교가 융성할 때 이곳 고능리에 자은사(慈恩寺)가 있었는데 이절의 이름에서 은자를 따서 부처님의 은혜를 입은 지역이란 뜻으로 불은면이라 칭하였다고 하며,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불은면과 인정면을 병합한 후에도 그대로 불은면으로 부르고 있다.
두운리(斗雲里)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종전 인정면의 두두미동(斗頭尾洞)과 백운동(白雲洞)을 합하여 두운리라 하였다.
경주골 : 옷골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정자가 있어 정자골로 부르다가 경주골로 변하였다고하며 일설에는 이 마을에 부자가 있어 구슬기둥으로 집을 꾸몃다고하여 붙여진 지명이라고도 한다.
귀릉골(貴陵谷) : 옷골 북쪽에 있는 마을로 이곳에 능이 있어 귀릉골로 부른다고 한다.
두두미 : 옛날에 도덕군자가 살던 곳이라하여 두도미라 불렀으나 와전되어 두두미라 부르고 있다고 전한다.
목비고개 : 옷골에서 길상면쪽을 향해가는 불은과 길상면의 경계에 있는 긴고개로 옛날에는 길이 좁고 숲이 우거져 산적이 나타나 행인의 재물을 탈취하고 잔악한 행위로 목을 베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백운골(白雲谷) : 고려시대 대문장가인 백운거사 이규보가 말년에 우거했던 마을에서 유래되었으며 뱅골로도 부른다.
불당골(佛堂谷) : 경주골 위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 이곳에 절이 있던 곳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붉은고개 : 두운리에서 선원면쪽으로 왕래하는 고개로 흙빛이 붉어 붙여진 이름으로 홍현(紅峴)이라고도 한다. 옷골(衣谷) : 두두미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까마귀가 많이 모이는 곳이라하여 오골(烏谷)이라 부르다가 와전되어 옷골로 부른다고 한다.
고능리(高陵里)
종래 불은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고잔동(高盞洞), 능촌동(陵村洞), 곶내동(串乃洞)을 폐합하고 고잔동에서 고(高)자와 능촌동에서 능(陵)자를 따서 고능리라 하였다.
고잔(高盞) : 지레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뒷산 언덕이 높아 사람들이 언덕위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경관에 취해 술잔을 주고 받던 곳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오고 있다.
능촌(陵村) : 예전에 이 마을에 능이 있었다는 전설이 있어 붙여진 지명으로 능내촌으로도 부른다.
법당골(法堂谷) : 능촌 뒤에 있는 골짜기로 고려시대 자은사라는 절이 있었던 곳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아침가리 : 지레 서쪽에 있는 마을로 사람들이 부지런하여 아침일찍부터 농경일을 열심히 한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조경촌(朝耕村)이라고도 부른다.
지레(芝涯) : 능촌 동편에 있는 마을로 염하와 육지가 연접한 고장으로 떼풀이 무성한 벌땅이라는 뜻에서 지레라고 한다.
오두리(鰲頭里)
마을 지형이 마치 자라의 머리처럼 좁고 길게 뻗어나간 곶이 있어 오두동이라 칭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오두리라 하였으며 일설에는 이곳에 오두정(鰲頭亭)이란 정자가 있어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
간뎃말 : 오두머리 옆에 있는 마을로 간뎃말에서 큰말로 넘어가는 고개를 간뎃말 고개라고 부른다.
꽃말 : 큰골 서쪽에 있는 산으로 진달래 꽃이 많이 피었다하여 불리어 졌다.
돈대산 : 오두돈대가 있는 산을 말한다.
오두정터 : 꽃말 북쪽에 있던 정자로 1602년(선조 25) 송인범이 지었다고 하며 오두에 있는 정자라 붙여진 이름이다.
넙성리(芿城里)
이지역은 옛날 마성(馬城)이 있었던 곳으로 마초가 무성함을 상징하여 넙성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넙성동에 신현동 일부를 합하여 넙성리라 하였다. 넙성리의 넙(芿)자는 풀잉자를 쓰고 있으나 속칭으로 넙이라고 부르는데 어원은 확실치 않다.
넙성(芿城) : 넙성리의 중심 마을로 지명은 리 유래와 같으며 속칭 넙세이라고 부른다.
능골(陵谷) : 넙세이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이곳에 능이 있었다는 전설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북성(北城) : 넙성 북쪽에 있는 마을이라 북성으로 부르고 있다.
용마바위 : 마봉산 서쪽에 있는 바위로 용마의 발자국과 비슷한 것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신현리(新峴里)
마을 중심지에 이름없는 고개가 있었는데 날로 발전하여 왕래자가 많아지자 새로운 모습이 된 고개로 변한 마을이라 신현동(新峴洞)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신현리라 칭하였다.
막은골(杜谷) : 예전에 해수가 이 마을 앞까지 드나드는 것을 보고 뻘골이라 부르다가 제방을 쌓아 막은 후 막은골 즉, 두곡이라 부르고 있다.
새말 : 황골 남쪽에 새로 만든 마을을 말한다.
솔정골(率丁谷) : 대모산 아래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 병사들의 교육장이 있어 장정을 거느린 곳이란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쉬나무골 : 새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휘나무가 있다.
풀무르고개 : 솔정에서 덕성리 봉골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황골고개 : 신현리에서 길직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덕성리(德城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종래의 덕진동(德津洞)과 광성동(廣城洞)을 합하고 덕진에서 덕자와 광성에서 성자를 취하여 덕성리라 하였다.
광성(廣城) : 덕성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예전에 군사상 요새지였으며, 굴곡주회(屈曲周廻)의 성과 세 돈대가 있는 넓은 성이 있는 곳이라 붙여진 지명이다.
대모산(大母山) : 덕성리에 있는 강화의 모산이라는 의미로 대모산이라 부르며 예전에 봉수대가 있어 김포 약산봉수와 강화 진강산봉수에 응하였다.
덕진 : 봉골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엔 나루터가 있었는데 이곳에선 무리하지말고 덕스럽게 나루질을 해야한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라 한다.
봉골 : 대모산 밑에 있는 마을로 대모산에서 봉수를 올렸다는데서 봉골이라 부른다.
손돌목 : 덕성리와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사이의 염하수로이며 물살이 험하고 좁은 바다목으로 고려때 어느 왕이 피난하던 길에 손돌목에 이르니 바다가 막힌 듯하고 물살이 세어짐으로 왕이 뱃사공 손돌을 의심하고 목베게 한바 손돌은 죽음에 직면하였음에도 왕의 안전 항해를 위해 “바가지를 물에 띄우고 그것을 따라가면 뱃길이 열릴것이다.”라고 말한 후 참수 당하였다고 하며 그후 임금 일행은 손돌의 이야기대로 하여 무사히 목적지에 도착하였다. 왕은 자기 잘못을 뒤늦게 뉘우치고 손돌을 후히 장사지내고 그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사당도 지어 주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손돌의 무덤은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에 있으며 해마다 음력 10월 20일경이면 찬바람이 불고 추위가 오는데 이를 손돌이 추위라고 전해온다.
용두돈대(龍頭墩臺) : 덕진돈대 북쪽에 있는 돈대를 지형이 용머리와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일명 사두돈대라고도 한다.
삼동암리(三同岩里)
원래의 인정면(仁政面) 지역으로 모양이 비슷한 바위가 셋이 있는 동, 리라 하여 삼동암동이라 칭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서문동, 마장동 각 일부를 합하여 삼동암리라 하였다.
박공재(朴公峴) : 유수골 북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유명한 선비 박선생이 살았다하여 박공재 또는 박공현으로 부른다.
백현(白峴) : 박공재 북쪽에 있는 마을로 백토가 많아 백현이라 부르며 흔부리라고도 한다.
벌말 : 삼동암리 북쪽 벌판에 있는 마을에서 유래되었으며 평촌이라고도 한다.
신도현(新道峴) : 흔부리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새로 길이 난 마을이라 신도현으로 부른다.
유수골(留守谷) : 박공재 남쪽에 있는 마을로 1290년(충렬왕 16) 몽골의 침입으로 서경유수 정인경과 왕경유수 송분이 이곳에 피난와 살았다하여 유수골이라 부른다.
인경리(仁卿里) : 고려 충렬왕때 원나라의 침입으로 서경유수 정인경이 이곳에 피난와 살았는데 그후 그의 이름을 따라 인경리라 불렀는데 조선시대에 와서 인정면으로 된 것이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한다.
삼성리(三成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때 석성동(石城洞), 서문동(西門洞)과 마장동(馬場洞)의 각 일부를 합하였으며 세 마을을 합하여 이루어졌다고 하여 삼성리라고 부른다.
돌성 : 벌말 북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는 삼동암천까지 해수가 들어왔는데 이곳에 돌로 성을 쌓아 피해를 막았다하여 돌성이라 부르며 석성이라고도 칭한다.
마장동(馬場洞) : 서문안 동쪽에 있는 마을로 고구려 혈구군시절 국마를 기르던 목장이 있는 마을이라 마장동이라 하였으며 속칭 매재이라고 부른다.
서문안(西門內) : 매재이 서편에 있는 마을로 고구려 혈구군 시절 소재지의 서문이 있던 안쪽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숯고개 : 돌성에서 선원면 선행리 술감으로 넘어다니던 고개로 숯을 굽던 고개라 숯고개라 부른다.
습진벌 : 옛 고구려 시절 군사훈련 하던 곳이라하여 습진벌이라 부른다고 하며 일제강점기에 농사지도를 담당하던 교습소가 있어서 농도원이라고도 칭한다.
지네 벼락친골 : 혈구산 중턱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에 이곳에 절이 있었는데 지네가 스님을 잡아 먹는 것을 보고 벼락을 친 골짜기라하여 붙여진 지명이라고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