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이래 송정포(松亭浦)의 이름을 따서 송정면(松亭面)으로 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송정면(松亭面)과 삼해면(三海面)을 병합하고 송정면에서 송(松)자와 삼해면에서 해(海)자를 따서 송해면이라 칭하였다.
솔정리(率丁里)
예전에 이곳에 소나무 정자가 있어 솔정동(率亭洞)이라 칭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이 마을에 나주 정씨가 집단으로 거주하고 있어 정씨가 거느리는 마을이란 뜻으로 솔정리라 개칭하였다고 전한다.
간촌(間村) :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송정면과 삼해면을 통합하면서 두면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간촌이라 부르며 속칭 샛말이라 한다.
대마촌(大馬村) : 솔정리에서 가장 큰 마을을 대촌으로 불러 왔는데 일제강점기 때에 이웃 하도리에도 대촌이 있어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마두촌의 마자를 붙여 대마촌이라 하였다.
마두촌(馬頭村) : 마을의 모양이 말머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마두촌이라 부른다고하며 일설에는 마을앞 논뚝에 말무덤이 있어 마두촌이라 칭하였다고도 한다.
알미정 : 샛말 뒤에 있는 산이 알처럼 둥그렇게 생겨 알미정이라 하였으며 앨미동산으로도 부른다.
정감물(丁家水) : 나주 정씨가 집단 거주하며 사용하는 우물이라 정가우물이라 부르다가 정감물로 되었다고 한다.
중앙보(中央洑) : 마두촌에서 상도리로 가는 길위에 있는 보로 두 마을 가운데 있다하여 중앙보라 부른다.
신당리(申唐里)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신성동(申城洞) 일부와 부내면 당주동(唐州洞) 일부를 합한 후 신성에서 신(申)자와 당주에서 당(唐)자를 따서 신당리라 하였다.
기당재 : 신당리에서 강화읍 관청리로 질러가는 고개로 예전에 고을에서 기우재를 지내던 기우청제단이 있어 기당재라 부른다.
온수골 : 중촌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예전에 이곳에 온수사란 절이 있었고 그 앞에서 온수가 난다고 하여 온수골이라 부른다.
중촌(中村) : 신당리의 중심에 있는 마을이라 중촌이라 부르며 가운데 마을이라고도 한다.
한직골 : 찬 샘물이 흘러나오는 곳이라 한직골이라 칭하며 서촌에서 간이 상수도를 만들어 식수로 사용하였다.
하도리(下道里)
고려산 북쪽 산줄기 밑에 젓고개라는 언덕과 동리가 있었는데 강화읍에서 하점면 방면으로 연결하는 도로가 개통 한 후 길가에 동리가 생겨 젓고개 사람들이 아랫길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하도리라 칭하였다고 한다.
김작촌(金雀村) : 옛날 이 마을에 고목나무가 많아 봄이면 꾀꼬리 새떼가 많이 서식하였다고 하여 김작촌이라 부르며 속칭 김작골이라 한다.
구름다리(雲橋) : 국도 48호선 오류천에 놓은 높은다리를 구름다리라 하였으나 지금은 새로 놓아 하도교라 부른다.
무지락골 : 큰비가 오거나 소나기가 지나가면 생수우물에 무지개가 꽂혀 무지락골이라 부른다.
삼거촌(三巨村) : 김작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국도 48호선이 지나는 세 갈래 큰길이 있어 삼거촌이라 하였으며 속칭 삼거림으로 부른다.
알동산 : 오류내 가운데 있는 동산으로 금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어서 알동산이라 부른다고 한다.
약방골 : 송해파출소 뒤쪽으로 올라가면 마을 사람들이 먹던 우물이 있는데 이 물을 먹고 목욕을 하면 피부병이 낫는다고 하여 이 골짜기 마을을 약방골이라 부른다.
오류촌(五流村) : 다섯 개의 골짜기에서 물이 흘러내려 내를 이룬 마을이라 하여 오류촌이라 부르며 속칭 오류내라고 한다.
젓고개 : 오류내와 김작골을 왕래하는 고개로 예전에 새우젓배가 이 고개 밑까지 들어왔다고하여 젓고개로 부른다고 전한다.
상도리(上道里)
송정포구(松亭浦口)에서 강화읍으로 통하는 도로 위에 있는 마을이라하여 상도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송정면 숭뢰리 일부와
삼해면 상도동 일부, 당산동 일부를 합하여 상도리라 하였다.
경연(慶筵)터 : 선조때 권필이 홍의에 살면서 그의 아들 항(伉)이 사마시에 뽑혀 잔치를 베푼 자리라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다송현(多松峴) : 상도리와 숭뢰리 금곡마을을 왕래하는 고개로 예전에 이 고개에 소나무가 무성하여 다송현이라 칭하였으며 속칭으로 다솔개라 부른다.
송곡촌(松谷村) : 마을이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옛부터 소나무가 무성하여 송곡촌이라 부른다.
호박촌(琥珀村) : 홍의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금광이 있어 호박이라는 보석이 나왔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속칭 호박골이라 부른다.
홍의(紅衣) : 마을모양이 기러기와 비슷하고 마을 앞 큰 방죽에 기러기 철새들이 많이 날아와 장관을 이루었다고 하여 홍우(鴻羽)로 부른데서 유래되었으며 속칭 홍이라 한다.
숭뢰리(崇雷里)
옛날 이곳에 숭릉(崇陵)이라는 능이 있었다하여 숭릉동이라 하였는데 1894년 숭릉동에 뇌곶동(雷串洞)을 폐합하고 두동에서 한글자씩 따서 숭뢰동이라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포촌동을 합하여 숭뢰리가 되었다.
금곡(金谷) : 임송굴 서남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뒤편에 금동산이 있어 붙여진 지명으로 금골 또는 금굴로도 부른다.
대변청(待變廳) : 예전 대변창이 있던 마을이라 대변창이라 부르다가 대변청으로 변하였다.
송정(松亭) : 우뢰 남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소나무 정자가 있어 송정이라 하였으며 곡촌(谷村)으로도 부른다.
우뢰(雨雷) : 숭뢰리 해안가에 있는 마을로 비가 내리면 벼락이 많았으며 그 원인이 뇌성에서 온다고 하여 우뢰라 부른다고 한다.
임송골(林松村) : 낭터림 서쪽에 있는 마을로 소나무 숲속에 마을이 있어 임송골이라 부른다.
전좌촌(殿座村) : 우뢰 동쪽에 있는 마을로 고려 고종이 강화로 피난 천도시 이곳에서 전좌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양오리(陽五里)
산 능선을 따라 다섯 개의 자연부락이 이루어져 있어 오향지기(午向之氣)라 양(陽)자와 오(五)자를 합하여 양오리라 부른다고 전한다.
간촌(間村) : 양오리의 가운데 마을로 서쪽에는 김지곡이 북쪽으로는 큰 양오리가 있어 그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간촌이라 부르며 한촌말이라고도 칭한다.
간드랑바위 : 김지곡 서쪽 고욤산에 있는 바위로 작은 바위 위에 큰 바위가 얹혀있어 조금만 건드려도 간드랑 거린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관곡(官谷) : 예전에 이 마을에 벼슬아치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여 관곡이라 부르고 있으나 와전되어 강골로도 부른다.
김지곡(金芝谷) : 큰 양오리 서남쪽 골짜기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마을 남쪽에는 금동산이 있어 지금도 금을 캐던 흔적이 남아 있고 마을모양이 V자형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다고하여 김지곡이라 부른다.
모름말 : 예전에는 천계가 넓어 마을안까지 선박이 출입하였는데 마을에 모래가 많다고하여 모래말이라 부르다가 지금은 모름말로 칭한다고 한다.
삼형제바위 : 풍류산 동쪽 봉우리에 있으며 옛날 효행과 우애가 지극한 삼남매가 황해도 앞바다로 고기를 잡으러 나가 풍랑을 만나 돌아오지 못한 아버지를 기다리며 가난한 살림에 먹을 것이 없어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산나물을 캐러갔다가 아사하였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바위로 그 형상이 마치 세아이가 끌어 안고 있는 듯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큰 양오리 : 양오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라 큰 양오리라 부른다.
하고개 : 김지곡 남쪽에서 하점면 장정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하고개라 부른다.
당산리(堂山里)
마을 뒤 조그만 산위에 신에게 제사지내던 당집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당산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당산동에 종전 하음면 양오리 일부를 편입하여 당산리라 하였다.
내곡촌(內谷村) : 마을이 골짜기 안에 있어 안골 마을이라 부르다가 내곡촌으로 칭한다.
당산(堂山) : 상도촌 동남쪽에 있는 산으로 신당이 있었다 하여 당산이라 부른다.
상도촌(上道村) : 당산리 서북쪽 양사면으로 가는 길위에 있는 마을이라 상도촌으로 부르며 양천 허씨가 많이 살았다 하여 허촌말이라고도 한다.
양촌(陽村) : 당산리 바닷가에 있는 낮은산의 양지쪽에 자리하고 있어 양지촌이라 하였으며 반남 박씨가 많이 살아 박촌말이라고도 부른다.
열녀각(烈女閣) : 고종때 젊은 부부가 살다가 남편이 죽자 아내는 남편의 죽음을 애통히 여기고 남편의 삼년상을 마친 뒤 남편이 죽은날 같은 시각에 자결하였다고 하여 나라에서 그 뜻을 가상히 여겨 열녀각을 세워 널리 칭송하였다.
풍류산(風流山)약수 : 당산리 산20-1번지 풍류산에 있어 풍류산약수라고하며 특히 풍병에 효과가 있다고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