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돌이의 죽은 넋이 매년겨울 매서운 추위와 거센 물결을 몰고 온다. 수백년 내려오는 강화도의 손돌추위라는 구전이다.
광성보 안으로 쑥 들어가 용의 머리처럼 생긴 돈대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면 용트림을 하며 서센파도를 일으키며 강물이 흐르고 있다. 바로 이곳이 파도가 험하기로 유명한 손돌목 이다. 손돌목이란 좁은 문을 뜻하기도 하는데 바로 우리가 문을 여닫는데 사용하는 돌쪼기도 바로 이 ‘돌’ 자를 사용 한다고 한다.
고려 21대 희종이 몽고란을 피하여 자연도(용유도)로 뱃길을 재촉할 때 뱃사공으로 이름이 알려진 손돌사공을 선정하였다. 희종이 음력 10월 20일 이 곳 용두돈대 밑에 당도하니 손돌은 물살이 쎄고 바다가 막힌 곳으로 자꾸 배를 저어가자 ‘당황한 왕은 사공 손돌이를 역적으로 ‘ 의심하여 목을·제거했다. 손돌은 죽으면서 왕에게 “바다에 바가지를 띄워서 바가지가 가는 데로 따라 가면 바다가 트일 것이다·” 고 일러주고 죽었다고 한다. 말대로 바가지를 띄워 이곳을 통과한 왕은 손돌을 죽인 것을 후회하고 손돌을 김포쪽 강가 야산에 묻어주고 제사를 올려 주게 하였다.
현재도 2005년 11월 11일 한강 시민공원 이천지구에 전시됐던 거북선을 서울시가 한산대첩의 고장인 경남 통영으로 기증하고 거북선의 운반을 강화도 북단 비무장지대를 통과하도록 UN 정전위와 합의 후 한강 하구에서 조강 -> 염하강을 따라 인천항으로 이동 하던 중 용두돈앞에서 급물살을 피하기 위하여 만조를 기다리기 위하여 하룻밤 정박하기도 하였다.
바로 앞 김포 덕포진에는 억울하게 희생된 손돌의 무덤이 있으며 이 곳을 “손돌목’ 이라 하고 매년 음력 10월 20일 경이면 강추위가 오는데 이 추위를 “손돌추위” 라고 전해온다. 용두돈대를 관람중이라면 한번 쯤 아래 바닷물을 강상해 보는 것이 좋겠다. 주변경관 역시 강화팔경으로 손 꼽히고 있는곳 이니까
손돌의 민담에서 나온 노산 이은상 선생의 시,(誇)를 한 수 소개한다.
사공은 억울한 죽음을 죽으며
그나마도 선심을 발휘하며
나는 원통하게 죽거니와 바가지를 물에 띄우고
그 바가지 흘러 가는 것만 따라가면 왕은 살 수가 있을 것입니다
원혼이 바람에 들어 이 바다에 떠돌면서
해마다 그 날이 오면 분하여 운다 하네
그 왕도 간지 오래니 잊어버리고 말려므나
손돌이 어진 사공 제 죽음 한 함이랴
고국정한(古國精限)을 풀어도 남겠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