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길상산의 이름을 따라 길상면이라 칭하였으며 길상산에는 양마목장(良馬牧場)이 있었고 임금께 진상하던 약쑥과 감목관청에서 향탄(香炭)을 공급하는 등 이로 인해 좋은 행운이 깃들었다는 뜻으로 길상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온수리(溫水里)
옛부터 따뜻한 샘물이 나는 마을이라 하여 온수동이라 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온수리라 하였다.
공장산 : 해랑당 동쪽에 있는 산으로 예전에 질그릇을 굽던 공장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난자골(卵子谷) : 온수리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산이 알과 같이 생겨 붙여진 이름으로 난자골 또는 난자울이라 부른다고하며 일설에는 바다에서 자라는 난초라는 풀이 자생하는 마을이라 난초고을로 부르던 것이 난자골로 변하였다고도 한다.
내촌(內村) : 온수 사거리 서편 안쪽에 자리하고 있어 내촌이라 칭하며, 안말이라고도 부른다.
동문골 : 온수리 남쪽에 있는 마을로 삼랑성의 동문밑에 있어 동문골이라 한다.
등잔모퉁이 : 온수리 동북쪽에 있는 모퉁이로 등잔처럼 생겨 붙여진 지명이다.
불당골(佛堂谷) : 예전에 정족산 삼랑성 북문아래 산골짜기에 절이 있었다하여 불당골이라 부른다.
서두머리(鼠頭) : 온수리 서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의 양쪽 가운데 돌출부분이 마치 쥐의 머리 모양과 흡사하다고하여 불러온 지명이다.
야촌(冶村) : 예전에 서두머리 북쪽에 있던 마을로 이름난 대장간이 있어 야촌이라 불렀으나 지금은 길정저수지로 수몰되어 모두 이주하였다. 이런말이라고도 한다.
여우고개 : 온수시장에서 월오지를 왕래하는 고개로 여우가 살았다하여 불러온 지명이다.
온수골(溫水谷) : 옛부터 추운 겨울에도 온정에서 빨래를 하며 몸을 녹였다하여 온정골로 불러오다가 지금은 온수골이라 부르며 온수시장 동남방이다.
전등사(傳燈寺) : 고구려 381년(소수림 11)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진종사라 하다가 고려 충렬왕이 원비인 정화궁주가 불도에 전념하며 이절에 옥등을 전하였다고하여 전등사로 개칭하였다고 전해온다.
정족산(鼎足山) : 전등사를 싸고 있는 산으로 산봉우리가 셋이 있는데 마치 솥발 형상이라 하여 정족산이라 부르며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정족산성도 이곳에 있다.
해랑당(海浪堂) : 난자골 북쪽 강남중학교 앞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구리포 뚝을 막기전까지는 바닷물이 들어와 게가 민물과 짠물이 교차되는 이곳에서 알을 낳고 되돌아 간다고 하여 해란이라 부르던 것을 뒤에 해랑이라 하였다고 하며 일설에는 고려 고종때 도원수 김방경이 살던 집을 해령당이라 하였다가 뒤에 해랑당으로 개칭하였다고도 한다.
선두리(船頭里)
남쪽으로는 인천 서쪽으로는 서해바다가 있어 선박이 편히 기착할수 있는 지역으로 배머리를 돌려 들어가는 긴 마을이라 선두리라 하였다고 한다.
구석촌 : 산뒤 동쪽 구석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며 새말 또는 신촌으로도 부른다.
굴우물 : 가운데 말에 있는 우물로 바위에 굴이 뚫렸는데 그곳에서 샘이 난다고 하여 굴우물이라 한다.
길마재 : 무추내 동쪽에 있는 산으로 모양이 소의 길마처럼 생겨 길마재라 부른다.
낭터리고개 : 무추내에서 동두머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낭떠러지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돈치기등 : 돌뿌리 남쪽에 있는 등성이로 지형이 평평해 예전에 나무꾼들이 돈치기를 하였다하여 불러온 이름이다.
동두머리 : 선두포 남쪽에 있는 마을로 선두포 뚝을 막기전까지는 해수가 드나들어 항해하는 선박이 기항하였으며 배가 출항하려면 동쪽을 거쳐갔기 때문에 동두머리라 하였다.
산뒤 : 온수리쪽에서 보면 길상산 뒤쪽에 있는 마을이라 산뒤라 부르고 있다.
서문턱 : 선두포 동북쪽에 있는 등성이로 정족산성의 서문이 있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서산뒤 : 산뒤 서쪽에 있는 마을이라 서산뒤라 부르며 택지돈대 윗마을이다.
선두포(船頭浦) : 배머리나루라는 포구가 있는 마을이라 선두포라 하였다.
선두포 뚝 : 선두리와 화도면 사기리 사이의 갯골을 막은 뚝으로 1706년(숙종 32) 유수 민진원이 쌓았으며 선두포에 있다 하여 선두포 뚝이라 칭한다.
애전동(艾田洞) : 예로부터 임금께 진상하던 약쑥의 명산지라 애전동이라 하였으며 속칭 숙밭다리라고 부른다.
월오지(月烏池) : 선두포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동구에 큰 못이 있었는데 그 모양이 반달같다 하여 월오지라 칭하였으며 속칭 달오지라고도 부른다.
택이(擇里) : 산뒤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산모서리를 돌아 가는 마을이라 택리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택이라 하였다.
할머니 놀이터 : 긴골 옆산으로 산이 낮고 나무가 있어 할머니들의 놀이터로 사용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동검리(東檢里)
강화 동남방에 위치하고 있는 섬으로 옛날에 서해와 남해상에서 강화, 김포해협을 거쳐 한강을 통하여 서울로 전입하는 배들을 검문하던 곳이라하여 동검리라 부른다고 한다. 지금은 다리를 놓아 강화 본도와 연결되어 있다.
봉우재 : 양달말 북쪽에 있는 산으로 옛날에 봉수대가 있어 봉화를 올렸다하여 봉오재라 부른다.
서두물 : 큰말 북쪽에 있는 마을로 그 형상이 학머리 부분과 비슷하고 샘물이 좋아 서두물이라 하였다고 한다.
숫구재 : 뒷대 옆에 있는 산부리로 숯을 굽던 곳이라 한다.
큰말 : 서두물 남쪽에 있는 큰마을로 동검리의 중심마을이다.
후대(後嶺) : 큰말 뒷편에 있는 마을이라 뒤재라 하다가 뒷대 또는 후대로 부른다.
초지리(草芝里)
옛날에 이곳에 광활한 풀밭이 있어 초지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초지리라 하였다.
내진(內津) : 앞재너머 동쪽에 있는 마을로 초지진 안쪽으로 김포시 대곶리를 왕래하는 나루터가 있어 내진이라 하였으며 터진개라고도 불렀다.
대흥(大興) : 초지리에서 가장 크게 번성한 마을이라 대흥으로 칭하고 있으며 대촌으로도 부른다.
밤나무골 : 내진 서쪽에 있는 마을로 밤나무가 많이 있어 붙여진 지명이다.
신촌 : 황산도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한국전쟁 이후 실향민이 자리를 잡아 새로된 마을이라하여 신촌이라 부른다.
장안말 : 예전에 성을 쌓고 말을 길렀다하여 장안말이라 하였으며 일설에는 온수리 장터 안쪽의 마을이라 장안말로 부른다고도 한다.
장자말 : 예전부터 부자가 누대로 많이 살았다고 하여 불러온 이름이다.
초북(草北)·초남(草南) : 초지마을이 점차로 커짐에 따라 북쪽을 초북, 남쪽을 초남으로 나뉘어 부르고 있다.
토저골 : 큰말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토성을 쌓아 민폐를 적게하고 말을 기르던 곳이라 토저골로 부르고 있으며 토저말로도 부른다.
장흥리(壯興里)
옛부터 자손이 대대로 번성한다는 뜻으로 장흥동(長興洞)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긴장(長)을 장사장(壯)으로 바꾸어 장흥리(壯興里)로 칭하고 있다.
감목관(監牧官) : 이리골 북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 길상목장에서 목마를 관리하던 감목관이 살았다는데서 유래하였다.
당재 : 서남촌에서 장안말 사이를 왕래하는 고개로 당집이 있어 당재라고 부른다.
서남촌(西南村) : 고려장안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이 마을에 두꺼비 모양의 바위가 있어 섬암촌(蟾岩村)으로 부르다가 서남촌으로 변하였다.
오류골 : 목자 등이 사용할 곡물저장창고가 있었다하여 오류골이라 불렀다고 한다.
장남(壯南)·장북(壯北) : 장흥리 중심지에서 마을이 위치한 방향에 따라 북쪽은 장북, 남쪽은 장남이라 부르고 있다.
황산들 : 서남촌 동편 황산도와의 사이에 있는 개간한 넓은 들로 황산도와 연결하여 조성된 들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길직리(吉稷里)
본래 길상면 지역으로 직산동(稷山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길상면에서 길(吉)자와 직산동에서 직(稷)자를 따서 길직리라 하였으며 직산동은 농토가 적고 황무지에서 피를 심어 먹고 살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관사말(官舍慢) : 효자터 동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 길상목장이 있었을 때 감목관과 목자들이 거처하던 관사가 있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귓골 : 관사말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뒷산 모양이 말귀와 비슷하다고 하여 구곡(廐谷)이라 부르다가 귓골로 개칭되었다.
마그네(馬廐川) : 예전에 신현리와 이 마을에 있던 목장의 말이 마시던 냇물이라 마귀내라 하였으며 그곳 지명도 여기에서 유래되어 마그네라 부른다.
방죽마을 : 마그네 동쪽에 위치한 마을로 예전에 제방을 축조하여 형성된 마을이라 방축(防築)마을로 부르다가 방죽마을로 변하였다고 한다.
백운골(白雲谷) : 고려 1232년(고종 19) 몽골의 침입으로 개경에서 강화로 천도하였을 때 백운 이규보가 피난와서 말년에 불은면 두운리에 살다가 이곳에 묻혀있는 곳이라 하여 백운골이라 칭한다.
장촌(張村) : 옛부터 인동 장씨의 집성촌이라 장촌으로 부른다.
피미(稷米) : 예전에 이 마을은 논이 적고 산전이 많아 피를 재배하여 먹고 살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효자터 : 관사촌 서쪽에 있는 마을로 효자가 살던 마을이라 효자터라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