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이래로 내가면이라 하였는데 내가면이란 명칭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 있던 외가면(外家面)의 안쪽에 있다는 뜻으로 상대적 개념으로 붙여진 듯 하다.
고천리(古川里)
옛부터 고려산과 혈구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유수(流水)에 의해 형성된 마을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고상동(古上洞)과 고하동(古下洞)에서 고(古)자와 자연마을인 현천(玄川)에서 천(川)자를 따서 고천리라 하였다.
고려지(高麗池) : 고려산과 혈구산에서 내려오는 유수가 모여 형성된 저수지로 고려산의 이름을 따라 고려지라 부른다.
고부(古阜) : 옛날에 오얏나무가 많은 언덕위에 형성된 마을이라 고부라 칭하였으며 속칭 고비라고 한다.
괸돌고개 : 고부에서 오상리를 왕래하는 고개로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길마재 : 현천 서남쪽에서 외포리를 왕래하는 고개로 그 형상이 소의 길마와 비슷하다고 하여 불러온 명칭이다.
나루고개 : 연촌에서 강화읍 국화리를 왕래하는 고개로 옛지명 나루는 늘어졌다는 뜻으로 높고 길게 뻗어나간 늘어진 고개에서 유래된 듯 하며 일설에는 옛날에 고개밑까지 조수가 들어와 나루터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낙조봉(落照峯) : 적석사 뒷산 봉우리로 해가 지는 서해바다의 정경이 매우 아름답고 잘보인다고 하여 낙조봉이라 하였다.
독구루미 : 질 그릇을 구워 만들던 곳에서 유래되었으며 독을 구웠다는 말이 오랜세월 전래되는 동안 독구루미가 되었다고 한다.
망산(網山) : 예전에 나라에서 유사시 불과 연기로 통신을 하던 망대가 있던 곳이라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덕산이라고도 부른다.
생골 : 장경 동남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좋은 샘이 있어 샘골이라 하였는데 생골로 변하였다고 한다.
송장골 :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고분이 많이 산재해 있다하여 송장골이라 부른다.
신선지(神仙池) : 고려저수지 위쪽에 있는 작은 저수지로 옛날에 이곳에 신선이 내려와 목욕을 하였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연촌(蓮村) : 옛날에 고려산 정상에서 인도 고승이 연꽃을 날려서 떨어진 곳이라 하여 연촌이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
왓벌(瓦坪) : 아랫고비 서쪽에 있는 들로 기와를 굽던 가마가 있어 붙여진 이름인데 지금은 고려지에 잠기었다.
장골 : 아래고부 윗쪽 긴골짜기에 위치한 마을이라 장골로 부른다고 한다.
조계(釣溪) : 옛날에는 이 마을 앞까지 조수가 들어와 낚시질을 하는 시내가 있다고 하여 조계라 부른다.
함박산 : 아랫고부 동쪽에 있는 산으로 모양이 함박꽃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현천(玄川) : 고천리의 중심마을로 예전에 오상리에 사는 조진사라는 선비가 몹시 가난하여 산에서 나무를 하면서 가랑잎에 숯으로 글씨를 썼다고 하며 비가 오면 숯이 빗물에 씻기어 검은 빛의 내를 이루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혈구산 : 큰 굴이 있어 혈굴산(穴窟山)이라 하다가 혈구산으로 변하였다고 전한다.
황골재 : 아랫고부 남쪽에서 양도면 인산리 황골을 왕래하는 고개라 붙여진 이름이다.
오상리(鰲上里)
산의 형상이 자라꼬리처럼 생긴 오미산(鰲尾山)이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이라 오산이라 부르다가 오상으로 개칭하였다.
구상(鳩上) : 옛 구상동으로 구주머리 위편에 있는 마을이라 구상이라 하였다.
방아재 : 봉성 북쪽 산 밑에 있는 마을로 연자방아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봉성(鳳城) : 오상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뒤에 있는 봉익산 주변에 토성을 쌓아 봉성이라 부른다고하며 속칭 성뒤라 부른다.
싱아골 : 싱아가 많이 나서 싱아골이라 부르며 산봉우리가 두 개 있어 큰봉우리를 큰 볏누리, 작은 봉우리를 작은 볏누리라 하며 정월 보름에 달이 큰 볏누리에 오르면 풍년이 들고 작은 봉우리에 오르면 흉년이 든다는 전설이 구전되고 있다.
오산(鰲山) : 산 모양이 자라꼬리처럼 생긴 오미산 산자락에 자리잡은 마을이란 뜻에서 유래되었다고하며 속칭 고상골이라 부른다.
장사바위 : 중산이 동쪽에 있는 큰바위로 장사가 누웠다는 큰 자욱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외포리(外浦里)
원래는 위량면 지역으로 외주동(外州洞)과 정포동(井浦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내가면 관할이 되었고 외주동에서 외(外)자와 정포동에서 포(浦)자를 취하여 외포리라 하였다.
당산(堂山) : 정포 북동쪽에 있는 득대 장군을 모신 사당이 있는 산에서 유래하였으며 무속에서 절대 신봉의 수군장(水軍將)으로 숭앙하고 있다.
당산골 : 당산 밑에 있는 골짜기에서 유래되었으며 광해군의 세자 지(祗)와 세자빈 박씨가 이곳에 유폐되었다가 세자가 사사됨에 박씨가 사흘을 울다가 자결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대정(大井) : 정포 윗쪽 마을로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샘이 나는 이름난 우물이 있어 대정이라 부른다고 한다.
도둑재 : 외포리 박골고개 중간에 위치한 지점으로 예전에는 나무가 무성하고 한적하여 도둑이 자주 나타나 행인을 괴롭혀 도둑재라 부른다고 한다.
소개(蘇峴) : 소고개는 수리계의 지명으로 높은 곳을 의미함으로 높은 언덕이 있는 고개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개아래 마을 이름도 소개라 부른다.
외주(外州) : 정포 동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고을터가 있었다고 전해오는 항주동(項州洞) 밖에 있는 마을이라 외주라 하였으며 속칭 밖골로 부르고 있다.
장지포(長池浦) : 양도면 건평리 한포에서 북으로 외포앞들까지 축조된 뚝안에 길게 생긴 저수지라 장지포라 하였으며 그곳에 있는 들도 장지포 들이라 한다.
전토골 : 옛이름은 절토골이라 하였는데 빈대가 많아 절을 불태웠다고 하며 절토골이 변하여 전토골이 되었다.
정포(井浦) : 외포리 포구옆에 이름난 우물이 있는 마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터진동 : 외주동 남쪽에 있는 방죽으로 홍수가 나 뚝을 작게 터놓았다가 뚝이 완전히 터지고 말아 터진동이라 부른다.
황청리(黃淸里)
황극운(黃極運)의 맑은 물이 흘러서 큰 인물이 난다고 하여 황청동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황청동 일부를 구하리에 넘겨주고 황청동과 포촌동을 합해 황청리라 하였다.
국촌(國村) : 국수산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국촌이라 하였다.
두문동(杜門洞) : 수탯골 북쪽에 있는 마을로 고려때 벼슬하던 선비들이 태조의 개국을 반대하여 이곳에 숨어 살았다하여 붙여진 지명으로 개경에 있던 두문동을 모방하여 부른 듯 하다.
말바위 : 말의 형상을 하여 말바위라고 부르며 어느 해 비가 많이 왔을 때 이 바위가 뒤집혀 있는 것을 동민들이 다시 뒤집어 놓았으나 뒷몸이 바다를 향해 놓여 분뇨가 바다로 나가 윗말에는 부유한 사람이 없고 인재가 배출되지 않는다고 하며 바위 머리가 바다를 향하면 마음대로 물을 먹을 수 있어 인재가 나고 부자가 많이 난다고 전해오고 있는 바위이다.
소릉(紹陵)고개 : 황청리 동북쪽 고천리와 경계에 있는 고개로 고려시대 희종의 비 성평왕후 임씨의 능으로 추정되는 소릉이 있던 곳에서 유래되었으며 수래이고개라고도 부른다.
수촌(水村) : 골이 깊고 맑은 물이 흐르는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이라 수촌으로 부르고 있다.
용머리산 : 산의 형상이 용의 머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원수골 : 고려 고종때 몽골이 침입하여 주민을 몰살시켰다는 골짜기라 하여 원수골이라 부르고 있다.
출럭궁바위 : 국촌 남쪽 국수산 밑에 있는 바위로 위에 올라가서 발을 구르면 들석들석하여 출럭궁바위라고 한다.
포촌(浦村) : 황청리 포구에 있는 마을이라 포촌이라 부르고 있으며 삼산, 교동, 서도면을 왕래하였다.
구하리(鳩下里)
덕산 낭떠러지에서 비둘기가 내려와 강구지에 와서 알을 낳았다고 하여 구하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구하동에 황청동 일부를 합하여 구하리라 하였다.
냉구렁 : 평전 동북쪽 낭떠러지 밑 구렁에 있는 마을로 낭구렁이라 하였는데 냉구렁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대장간골 : 마을 입구에 대장간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대흥 : 옛날에 마을의 평안과 번영을 위해 동제를 지내던 신당인 대흥당이 있어 대흥이라 하였으며 속칭 댕대이라고 부른다.
새밭두이 : 낭치랭이 위에 있는 들로 새로 만든 밭뚝이 있어 새밭두이라고 부른다.
양릉고개 : 구하리와 황청리를 왕래하는 고개로 고려때 양릉이란 능이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평전 : 구개골 동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둔전이 있었으며 평평한 밭이 많아 평전이라 부른다.
해당화벌 : 바다 성뚝에 해당화가 많아서 해당화벌이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