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0년 3월 : 주(州)·부(府)·군(郡)·현(縣)의 명칭을 제정하여 강화현으로 됨.
1018년 : 강화현에 현령(縣令)을 둠.
1034년 9월 기유 : 박술희를 갑곶으로 귀양보내자 왕규(王規)가 죽임.
1034년 : 왕규를 갑곶으로 귀양보냄.
1101년 2월 : 남경유수, 강화현령 등의 외관록(外官祿)을 제정함.
1172년 : 교동에 처음으로 감무(監務)를 둠.
1197년 9월 : 태자 숙(璹)을 강화로 추방함.
1210년 12월 : 태자 숙을 강화에서 소환하고 이름을 정(貞)으로 고침.
1211년 12월 계묘 : 최충헌이 왕(희종 ; 熙宗)을 폐위시켜 강화현으로 보냈다가 자연도로 유배.
1215년 8월 기해 : 최충헌이 전 임금(희종)을 교동현으로 데려옴.
1227년 3월 을묘 : 최우가 전 임금(희종)을 교동으로 옮김.
1232년 6월 을축 : 최우가 고종을 위협하여 강화로 도읍을 옮김.
1232년 6월 병인 : 최우가 이령군(二領軍)을 동원하여 강화에 궁궐을 지음.
1232년 7월 을유 : 고종이 개경을 떠나 강화에 도착함.
1232년 11월 : 강화에서 몽골 황제에게 진정표를 보냄.
1232년 : 강화군으로 승격하고, 강도(江都)라 칭함.
1232년 : 세조·태조의 재궁(梓宮)을 강화로 이장함.
1234년 1월 계해 : 여러 도의 장정을 동원하여 궁궐과 관청을 건축함.
1234년 2월 계미 : 봉은사에서 연등회를 거행.(이후 거의 매년 거행)
1234년 3월 : 대궐 남쪽에 불이 나 수천여 호(戶)가 소실됨.
1235년 7월 임오 : 광주와 남경의 사람들을 강화에 들어오도록 함.
1235년 11월 계유 : 법왕사에서 팔관회를 거행.(이후 거의 매년 거행)
1235년 12월 : 강화 연안의 제안(堤岸)을 증축함.
1237년 8월 : 강화 외성을 쌓음.
1237년 10월 정유 : 정종(貞宗)의 묘호를 희종으로 고치고 석릉에 장사지냄.
1238년 4월 : 몽골의 조서를 제포관에서 맞이함.
1241년 9월 : 이규보가 강화에서 죽음, 동국이상국집 간행.
1242년 4월 병진 : 고종이 곤릉에 참배함.
1243년 7월 : 흥국사를 지음.
1243년 8월 경오 : 세조와 태조의 묘를 강화 개골동으로 이장함.
1244년 8월 : 강안전을 개축함.
1245년 3월 : 강화 견자산 북쪽 800여 호에 불이 남.
1246년 5월 기사 : 왕이 선원사에 행차함.
1248년 10월 : 개경에 나가 있던 문무양반 모두를 강화에 돌아오게 함.
1250년 1월 : 승천부 임해원 옛터에 궁궐을 짓기 시작함.
1250년 6월 경자 : 신안공(新安公) 전(佺)을 시켜 몽골사신을 강도에서 맞이함.
1250년 8월 : 최우의 초상을 선원사로 옮김.
1250년 8월 경신 : 강화 중성을 쌓음.
1250년 12월 기미 : 몽골 사신 홍고이(洪高伊)를 제포궁에서 맞이함.
1251년 2월 무술 : 고종이 본 대궐로 이거함.
1251년 3월 을축 : 고종이 본 대궐에서 화엄신중도량을 베품.
1251년 8월 갑오 : 새로 지은 화산동 국자감(國子監)에 공자의 초상을 둠.
1251년 9월 임오 : 고종이 백관을 거느리고 대장경판당에 행차함.
1251년 11월 을사 : 몽골사신 장곤(將困)·홍고이 등 40명이 승천관에 도착함.
1252년 5월 : 승천부의 성곽과 낭무(廊?)를 축조함.
1253년 5월 병신 : 몽골 사신을 제포궁에서 맞이함.
1253년 8월 무신 : 갑곶강에서 수전(水戰)을 연습함.
1253년 9월 계사 : 몽골 기병이 갑곶강 건너편에서 노략질을 함.
1253년 11월 신묘 : 고종이 승천부에서 몽골 사신을 만남.
1254년 8월 기축 : 제포궁에서 몽골 사신을 대접함.
1254년 12월 신묘 : 신묘(神廟)에서 산천(山川)에 제사를 지냄.
1255년 1월 신축 : 몽골군이 갑곶강 건너편에 침입함.
1255년 8월 무자 : 몽골군이 승천부에 들어와 서울에 계엄령을 내림.
1256년 3월 무오 : 몽골군이 착량 밖에 도착함.
1257년 7월 무오 : 제포에서 몽골군을 위해 연회를 베품.
1257년 9월 계유 : 고종이 제포관에서 몽골 사신을 영접함.
1257년 3월 병자 : 유경(柳璥)·김인준(金仁俊) 등이 최의를 죽임.
1258년 8월 기해 : 고종이 제포관에서 차라대(車羅大)의 출륙을 논의함.
1258년 9월 경오 : 몽골군이 착량으로부터 갑곶강 건너편에 와서 진을 침.
1258년 10월 임인 : 고종이 친히 백좌도량을 베품.
1259년 2월 갑오 : 마니산 남쪽에 별궁을 창건함.
1259년 4월 정유 : 삼랑성 신니동에 임시 대궐을 짓도록 명령함.
1259년 6월 계미 : 강화 내성을 헐기 시작함.
1259년 6월 임인 : 고종이 유경의 관저에서 서거함. 묘호를 고종, 능호를 홍릉이라 함.
1259년 9월 기미 : 고종을 홍릉에 장사 지냄.
1261년 9월 임술 : 원종이 승천부에 행차함.
1261년 9월 정해 : 원종이 홍릉에 참배함.
1264년 5월 : 참성단에 제사지내고 신니동에 가궐을 지음.
1264년 5월 계묘 : 삼랑성 가궐에서 대불정오성도량을 4개월간 베품.
1264년 6월 경술 : 마니산 참성단에서 기도를 올림.
1264년 6월 신해 : 원종이 신니동 가궐에서 대불정오성도량을 베품.
1264년 6월 임자 : 원종이 혈구사에서 대일왕도량을 베품.
1270년 5월 임술 : 재상 회의에서 개경으로 환도를 결정하고 방을 붙여 공고함.
1270년 5월 갑자 : 상장군 정자여를 강화에 보내 삼별초를 타이르게 함.
1270년 5월 무진 : 장군 김지저(金之底)를 보내어 강화에 있는 삼별초를 해산케 함.
1270년 6월 기사 : 배중손·노영희 등이 삼별초를 이끌고 승화후(承化侯) 온(溫)을 옹립하여 항쟁을 시작함.
1270년 6월 신사 : 김방경을 역적 추토사(追討使)로 임명함.
1270년 8월 무인 : 몽골군이 강화성 안 백성의 집을 방화함.
1270년 9월 무오 : 다루가치가 강화성 안의 정형을 상세히 살핌.
1271년 8월 : 몽골황제가 끌려갔던 강화의 백성들을 풀어준다고 공문을 보냄.
1272년 9월 병인 : 원의 다루가치 이익(李益)이 강화의 군비 정형을 염탐함.
1276년 9월 갑진 : 강화의 재궁을 창릉과 현릉에 이장함.
1277년 5월 임진 : 승려 육연(六然)이 강화에서 유리 기와를 구움.
1287년 9월 : 강화 민가에서 은 50근을 수색하여 탈취함.
1290년 2월 : 합단(哈丹)의 침입으로 홍자번(洪子藩) 등이 강화 환도를 건의함.
1290년 8월 경인 : 적을 피해 강화로 옮길 계책을 세움.
1290년 10월 무술 : 강화로 노약자를 옮김.
1290년 11월 갑진 : 국사(國史)와 보문각(寶文閣)·비서사(秘書寺)의 책을 강화로 옮김.
1290년 11월 무신 : 궁인들을 강화로 대피시킴.
1290년 11월 경술 : 태조의 소상(塑像)을 강화로 옮김.
1290년 12월 정해 : 충렬왕이 합단의 병란을 피해 강화 선원사에 머무름.
1291년 4월 임오 : 충렬왕이 남도(藍島)에 갔다가 다시 선원사로 돌아옴.
1291년 4월 기축 : 충렬왕이 개경에 갔다가 선원사로 돌아옴.
1291년 5월 기유 : 충렬왕과 공주가 장봉(長峰)에 갔다가 선원사로 돌아옴.
1291년 6월 정묘 : 왕이 개경에 갔다가 강화로 돌아옴.
1291년 9월 무신 : 왕이 개경으로 돌아감.
1292년 1월 정사 : 선원사에 역대 실록을 옮김.
1314년 윤3월 경오 : 선원사에서 세자 감(鑑)의 명복을 빔.
1317년 3월 계미 : 원의 사신이 강화 군기 등을 검열함.
1351년 10월 임오 : 충정왕이 공민왕에 양위하고 강화로 쫓겨남.
1352년 3월 신해 : 강화에 있던 충정왕이 독살됨.
1352년 3월 계축 : 포왜사 김휘남(金暉南)이 교동으로 퇴각함.
1352년 3월 경신 : 왜적이 교동의 창고에 방화함.
1357년 4월 무자 : 왜적이 교동에 침입함.
1357년 윤9월 : 왜적이 교동에 침입함.
1358년 4월 : 왜적이 교동을 침범하여 경성에 계엄을 내림.
1359년 1월 기해 : 교동방어지휘사에 유방계(柳方癸)를 임명함.
1360년 윤5월 병진 : 왜적이 강화에 침입하여 선원·용장사를 약탈하자, 심몽룡(沈夢龍)이 맞서 싸우다 순절함.
1360년 윤5월 계유 : 왜적이 교동현에 불을 지름.
1362년 8월 기유 : 강화 용장사를 수축함.
1363년 4월 기미 : 왜적의 배 213척이 교동에 정박함.
1365년 3월 경신 : 왜적이 교동과 강화를 침범함.
1365년 4월 기해 : 왜적이 교동과 강화를 침범함.
1366년 5월 : 왜적이 교동을 침범함.
1367년 3월 기축 : 왜적이 강화부를 침범하여 약탈함.
1373년 3월 : 왜적이 강화부를 침범함.
1373년 7월 을사 : 강화만호 하을지(河乙池)를 왜적을 방어하지 못한 이유로 강등시켜 유배보냄.
1376년 7월 : 왜적의 침입으로 교동의 백성을 피난시킴.
1376년 10월 : 왜적이 강화에 침범하여 전선(戰船)을 불태움.
1377년 : 강화부로 승격됨.
1377년 3월 : 판삼사사 최영(崔塋)이 강화방수군을 조직함.
1377년 5월 경인 : 왜적이 강화부에 침범함.
1377년 5월 정유 : 왜적이 강화부를 침범하여 대대적으로 약탈함.
1377년 6월 : 강화 등지에서 왜적에게 참살 당한 시체를 수습하도록 전포(錢布)를 내림.
1385년 11월 : 강화만호 문천주(文天柱)를 유배 보냄.
1387년 1월 : 왜적이 강화에 침범하여 최영이 해풍에 주둔하여 방어함.
1388년 6월 : 우왕을 강화로 내쫓음.
1389년 11월 : 이성계가 창왕(昌王)을 강화로 내쫓고 공양왕을 세움.
1389년 12월 무신 : 유구를 강화에 보내 창왕을 죽임.
1390년 : 양광도의 강화·교동 등지를 경기우도에 소속시킴.
< 출처 : 강화군 >